친절한 한국사 - 나의 관점에서 시작하는 역사 공부 사계절 1318 교양문고
심용환 지음 / 사계절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각적이고 비판적으로 역사를 바라보게 하는 책.

 

3개의 챕터로 엮기엔 무리가 있어 보이는 이야기도 삽입되어 약간 정리가 덜 된듯한 느낌이 든다. 하지만 그저 그렇게 사실만 전달하는 책이 아니고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다 보니 청소년(고등학생 정도가 적당해 보인다)은 물론 성인들의 흥미를 얻기 충분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중 기억에 남는 부분을 소개하자면,

 

1. 영화는 영화! 역사는 역사이다!

영화를 마치 역사서를 보듯 그대로를 수용했던 수동성을 반성하게 만든다. 곳곳에 영화에서 다뤘던 역사적 사건들을 여기저기 나열하면서 영화 속 미화된 이야기, 사실이 아닌 이야기도 잠깐 꼬집고 결론적으론 영화 시청 후 역사적 사실을 검토하고 토론까지 나아가야 할 필요성을 어필한다. 특히, 유교 사상이 뼛속까지 가득한 봉건 군주 세종을 민주주의 추종자로 그려낸 것에 속아버렸다는 사실에 아차! 싶었다. (조금만 더 생각해도 말이 안 되는데 말이다.) 첫 이야기부터 충격이다.

 

2. 단선적 시각은 No, 전 후 측면을 보아야!

분명 친일파이지만 6.25전쟁 영웅이기에 우리에게 딜레마를 제공했던 인물 중 하나인 백선엽, 역사서는 독립운동가로 규정지었지만 인생 후반부는 테러리즘적 아나키즘(무정부주의자)로 빠져 추후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강력히 비판했다는 신채호, 을사늑약의 무효화를 외치려던 헤이그 특사의 실패 등이 나열되어 있고, 저자는 그 전후 측면 등을 조명한다. 역사에 등장하는 다양한 인물과 사건을 하나의 성격으로만 규정하고 마는 우리들의 역사의식에 문제를 제기하기에 충분하다.

 

3. 주류가 될 수 없었던 역사 속 여성 이야기에도 관심을...

3.1운동, 임시정부 후원 등에 앞장 섰던 간호사, 남학생들에게 배제되어 홀로 3.1운동의 확산을 가했던 김마리아, 중국 공군 소속으로 항일 투쟁 전개했으나 해방 후 소외된 여성 비행사 권기옥(함께한 최용덕은 남성이라는 이유로 해방 후 공군참모총장 역임) 등의 이야기를 소개한다. 여성의 몸부림과 외침의 역사가 너무 생소하게 다가오는 것 자체가 우리가 배운 역사 속에 내재한 안타까운 차별이 있었음을 깨우쳐 준다.

 

그 외에 역사의 답은 공간속에 있다.”는 저자의 말이 생각난다. 흥미를 자극했지만, 공간 속 역사를 좀 더 깊이 다뤄주지 못한 게 다소 아쉬움이 남는다.(너무 많은 이야기를 책 한 권에 담다 보니 생긴 한계점이 아닐까)

* 사계절 출판사에서 책을 제공 받아 리뷰를 작성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