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 - 도시를 보는 열다섯 가지 인문적 시선
유현준 지음 / 을유문화사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건축학자가 쓴 도시에 관한 인문서다.

건축이라는 키워드를 가지고 이야기를 풀어나가되, 공간을 이루는 다양한 요소들을 건축에 한정하지 않고 연결하며 확장한다. 독자는 건축이라는 낯선 재료를 책이라는 매체를 통해 만나, 건축이 만드는 공간인 도시를 다시 들여다볼 수 있다.

아파트, 공원, 지하쇼핑몰 등 책에서 다뤄지는 것들은 우리가 일상적으로 생활하는 주변의 공간들이어서 어렵지 않다.

우주 공간도 무한한 공간이지만 실제로는 잘 인식이 되지 않는다. 하지만 거기에 별과 달이 보이기 시작하면 공간감이 생겨나기 시작한다. 이를 미루어 보아 공간은 인식 불가능하지만 그 공간에 물질이 생성되고 태양빛이 그 물질을 때리게 되고 특정한 파장의 빛만 반사되어 우리 눈에 들어오게 되면서 공간은 인식되기 시작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렇듯 내가 사는 공간을 인식하면서 살게 되었을 때 우리의 삶은 좀 더 다양한 색을 가지게 질 것이다.

도시라는 공간에는 도로가 있으며, 공원이 있고, 사람이 있다.

유기적으로 연결된 관계 속에서 도시는 번창하고 쇠퇴하며 역사를 만들어간다.

저자의 얘기처럼 우리는 건축 자재로 건축물을 만들지만, 시간이 지나면 건축이 다시 우리의 삶과 정신과 문화를 만든다.”

 

며칠 전 뉴스에서, 이 책을 박근혜 대통령의 비서관이었던 정호성씨가 구치소에서 읽었다는 기사를 봤다. ‘이렇게 좋은 책을 읽는 사람이 어떻게 그런 일을?’같은 멍청한 질문은 하고 싶지 않다.

이제 우리는 누군가 청와대를 사적 공간으로 인식했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알게 되었다.

끊임없이 질문을 하자.

내가 머무는 공간은 어떤 곳인가’, ‘무슨 일을 하는 곳인가’ ‘나는 어떤 일을 하고 있는가’, ‘왜 하는가이런 성찰이 있어야만 우리는 인식할 수 있는 존재인 사람이 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