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글쓰기 특강 - 생각 정리의 기술
김민영.황선애 지음 / 북바이북 / 2015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읽기를 끝낸 한 권의 책을 기억해두기 위해 독후감을 쓰기 시작한 지도 1년 남짓 되었다.

시간이 지나면 좀 나아질까 싶었지만, 나는 여전히 휘발성 독서를 하는 중이다.(~ 정말)

책을 기억하고 싶다는 간절한 욕망으로 찾은 책이 바로 <서평 글쓰기 특강>이다.

책을 읽다 놀란 부분은 서평 이전의 글쓰기에 대해 설명하는 부분이 마치 내 이야기를 쓴 것 같다는 느낌이 들었을 때다. 앞서 얘기했듯 나는 책에 대한 기억이나 글쓰기 실력에 도움이 되지 않는 독후감 쓰기를 계속하는 중이었다. 그런데 책의 앞부분부터 독후감과 서평의 차이에 대해 조목조목 지적을 해 주니, 글쓰기의 방법을 이제 바꿀 시기가 왔음을 책은 첫 시작부터 얘기하고 있었다.

독후감은 서평과 무엇이 다른가.

저자는 가장 큰 차이점으로 주어가 서로 다름을 지적한다. 독후감이 가 주어임에 반해 서평에서 주어는 , 작가, 독자, 주인공, ‘외의 다른 것()이다. 책을 읽는 가 아닌, ‘을 기억하고 싶다면, 서평을 써야 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써야하나. 책은 서평을 잘 쓰기 위해서는 우선 첫 번째로 잘 쓰려고 애쓰지 않아야 한다고 한다. 처음부터 잘 쓰려고 하면, 시작 자체가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니 초고는 초고답게 자연스럽게 써나간 뒤 퇴고를 통해 글을 다듬으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일정한 틀을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고 말한다.

서평은 발췌메모개요초고퇴고의 과정을 거치는데, 글쓰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개요에 일정한 형식을 사용해 써보는 것이다. 책에서는 <작가 및 작품 소개 / 줄거리 및 내용 요약 / 발췌 및 해석 / 전체 느낌 / 추천 대상 / 추천 이유>의 형식이 소개되었는데 나는 당분간 이 틀을 사용해 서평을 쓸 예정이다.

무엇보다 서평을 잘 쓰기위해서는 꾸준히 써야 한다고 말한다.

저자 김민영은 방송작가, 영화평론가, 출판기자를 거쳐 현재 교육회사인 ()행복한 상상의 이사이자, 학습공동체 숭례문학당 학사이다.

또 다른 저자 황선애는 독일문학을 전공하고,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두 명의 저자 모두 글쓰기에 전문성을 두는 이력을 가지고 있어 믿음이 간다.

두 명의 저자는 서평쓰기의 필요성, 독후감과의 차이, 서평쓰기 로드맵 등 서평쓰기방법을 알기 쉽게 썼다. 특히 글쓰기 이론서들이 가질 수 있는 지루함이 없다는 것이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이다. 책을 읽고 난 뒤 도무지 기억에 남는 없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만한 정보가 가득하다. 책은 읽었으나, 초고도 쓰지 못한 서평이 자꾸만 늘어가고 있지만, 다시 서평쓰기를 시작 해보려 한다.(이 책을 읽은 지 2주 만에 서평을 완성했다)

책의 서문에서 저자들이 말하듯, 책을 가장 잘 기억하는 방법이 서평이라면,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