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올바름 - 한국의 문화 전쟁
강준만 지음 / 인물과사상사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세상에 인터넷에서 PC 논쟁, PC 논쟁하길래 무슨 말이지 했는데, Political Correctness의 약자였다니. 나의 무지함에 또 한 번 통탄하고 글을 시작할 수밖에 없겠다. 이 책 제목 정치적 올바름이 바로 PC였구나. 나는 이 책이 한국의 정치사상이나 올바른 정치 문화에 대한 책인 줄 알았는데 이 책은 PC 그 자체였다.


사회교육전공자로서 정치학, 사회학 책 많이 읽었는데 사는 게 바쁘고 세월에 장사 없다고 정치에 관한 얇은 책 한 권이 이렇게나 어색해질 수 있다니 충격적이었다. 이 얇은 책 한 권이 앞으로 우리 사회와 문화, 정치, 시사에 관심을 가지면서 살아야 되겠다는 굳은 다짐을 하게 만들었다. PC 충이라는 단어도 인터넷에서 듣긴 들었는데 그게 뭐냐고 물으면 제대로 답할 수 없는 그런 상태였기에 나는 이 책이 PC 개념 정의에 도움이 되었다.


과연 정치적 올바름이란 무엇인가. 그것이 무엇이길래 논쟁을 낳고 사회에 큰 이슈를 불러일으키는가. 저자에 따르면 PC는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에 대한 차별적 언어 사용이나 활동에 저항해 그걸 바로잡으려는 운동 또는 그 철학을 가리키는 말이라고 한다. PC의 핵심 콘텐츠는 도덕이다. 자기 과시를 위한 도덕이 위험하듯, 자기과시를 위한 PC도 위험할 수밖에 없다고 한다.


우리가 무심코 쓰는 부린 이, 주린이, 불린 이 등 -린이를 붙여서 쓰는 것도 아동을 미숙하고 불완전하게 보는 단어기 때문이 쓰지 말라고 인권위에서 권고한다고 하는 걸 이 책을 통해서 알게 되었다. 늦게나마 알게 되었으니 그런 단어를 쓰지 말아야겠다.


내가 보기엔 PC라는 단어가 도덕적 올바름이 아니라, 정치적 올바름이라는 게 포인트인 것 같다. 올바름이 정치에 악용되는 것이 문제다. 올바른 것을 바르게 말하면, 올바르게 쓰이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 저자의 표현대로 PC에 관한 의견을 표명할 때에는 낮은 자세로 겸손하게 상대방의 기분을 최대한 배려하는 게 필요하다. 그리고 말로만 PC를 얘기하는 게 아니라 행동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변화와 해결을 위해서는 사이버상의 글로만 말해서 되는 일이 아니다. 진정 바람직한 변화를 위해서라면 직접 움직여야 할 것이다.

※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한 도서를 읽고 솔직하게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