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 우연들
김초엽 지음 / 열림원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초엽 소설가의 첫 에세이의 제목이 참 마음에 든다. 세상에 책만큼 우연히 마주치는 게 없기 때문이라 생각하기에 정말 잘 지었다는 생각이 든다. 지인으로부터 김초엽 소설가의 작품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을 소개를 받고, 나는 마치 소개팅을 하는 것처럼 김초엽 소설가가 궁금하던 차였다. 김초엽이 어떻게 처음 SF 소설을 접하고, 소설가가 되었는지 궁금했는데, 우연히 만난 이 책을 통해서 그 궁금증을 해결하는 실마리를 찾았다.


SF 소설이란 무엇인지 잘 몰랐던 나에게 차근차근 개념과 사례를 소개해 주었고, 전업작가가 어떻게 자료를 얻고 글을 쓰는지 찬찬히 들여다볼 수 있어 좋았다. 과학 논픽션을 쓰기 위한 필요조건이 과학자가 되는 일인 줄 알았다는 저자와 마찬가지로 나도 전공과목에 관한 책을 쓰려면 전공과목 교사가 꼭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저자가 되고 싶다는 꿈을 잊고 살았다.


포항공대에서 생화학을 전공한 저자는 과학 책을 읽을 때 무조건 연필과 플래그와 함께 한다고 한다. 왜냐하면 과학 책에서 아이디어를 많이 발견하기 때문이라고 하는데, 나도 요즘 연필과 플래그, 포스트잇 메모지를 지참해서 독서를 하고 있다. 아이디어가 생각나는 대로 바로 붙들어 매기 위하여.


SF 소설은 과학기술과 인간과의 상호작용을 다루기 때문에 과학 책과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이고, 무엇보다 SF 소설이 지향하는 것은 이 드넓은 우주에 우리 인간만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는데 있다고 생각한다. 자연과 과학과 공생하는 것. 자연이 우리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우리는 자연 앞에서 겸허해야 한다. 우주에 작은 점 하나 밖에 되지 않는 다는 것을 잊고 살때가 많다. SF 소설은 우리가 놓치고 있는 것들을 깨닫게 해준다.


이 책을 읽고서 지인이 소개해 준 소설책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을 곧장 주문했고, 이 책 서평을 쓰고 곧 읽어보려고 한다. 작가를 미리 알고 나서, 작가의 에세이를 먼저 읽고 만나게 되는 소설이라 두근두근하다.


※ 해당 서평은 출판사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솔직하게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