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니 그대 쓰러지지 말아 - 삶의 굴곡에서 인생은 더욱 밝게 빛난다
김재식 지음, 이순화 그림 / 위즈덤하우스 / 2013년 12월
평점 :
품절


신은 감당할 수 있는 만큼의 시련을 주신다고 하지만 '나라면 과연 감당할 수 있을까?' 싶은 감히 상상할 수 없는 힘겨운 시련으로 가득한 시간들을 저자와 아내는 사랑으로 함께 하루하루를 살아내었다. 아내가 짐짝처럼 사는 걸 괴로워하는데도 아무것도 해 줄 수도 없고 간병하는 것 말고는 할 수 있는 게 없다는 남편, 아파 보니 다시 산다는 생각은 하기도 싫다며 다시는 태어나고 싶지 않다는 아내를 보며 이 부부에게 삶이란 포기하고 싶을 정도로 너무 가혹했을것 같다.

그래도 부부는 힘들고 어려운 순간마다 기적적으로 사랑과 마음을 베풀어준 사람들이 옆에 있었기에, 어려운 환경이지만 바르고 예쁘게 자라 준 아이들이 있어서, 삶을 포기하지 않고 계속 살아갈 이유를 찾고 힘든 시련들을 버텨낼 힘을 얻을 수 있었을 것 같다.

금반지를 빼주면서 회복하길 기도하겠다는 공동간병인 아주머니, 한 달의 월급을 그대로 주면서 진심으로 걱정하고 도와주려고 애써주던 대표님, 계절마다 철에 맞는 음식을 사 먹으면 좋겠다며 돈을 송금해 주는 유리공주님, 쉬는 날 사복을 입고 찾아와 격려와 위로를 해 주신 담당 박사님, 기부금과 후원금을 보내주는 사람들 등 타인의 고통이나 어려움에 무관심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위로와 공감, 선한 마음을 베풀어 준 사람들을 보면서 정말 가슴이 따뜻해져왔다. 타인의 고통과 어려움을 공감하며 따뜻한 선의를 베풀 수 있는 사람이 되도록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을 해 본다.

여기에 들어와서 조금 의아한 점이 있다면 몸이 힘들고 마음이 지칠수록 바깥에 있는 어머니, 아버지, 나눔이, 겨레 형과 외조부님을 비롯한 다른 사람들이 걱정되고 안녕이 궁금해진다는 점입니다. 이른 아침에 일어나면서 채 가시지 않는 잠을 쫓으며 가족 중에서 누구보다 일찍 일하시던 어머니 생각도 나고, 힘든 내무반 작업을 하면서는 매일 육체노동에 땀 흘리시던 아버지 생각도 나고, 고된 훈련을 받으면서 나보다 먼저 이 과정을 거쳤을 형도 생각나고, 하루 세 끼 꼬박꼬박 챙겨 먹으면서는 집에서 아침도 제대로 못 먹고 학교 갈 나눔이도 걱정되고… 이것이 사람의 아름다움이 아닐까 싶습니다. 역경 속에서 자신만 챙기지 않고 함께 어려움을 겪는 다른 사람들을 걱정하고, 고난받을 때는 나의 소중한 사람들이 이 고난을 함께 당하지 않음에 감사하게 되는 제 자신을 보면서 뿌듯하기도 하고 스스로가 대견스럽기도 합니다. 가진 놈이 더 하다는 말의 반대로, 어려움을 겪어 봐야 그동안 홀대하고 사소히 여겼던, 주변 다른 사람들의 어려움을 제대로 직시하고 그 무게를 실감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p.227~228 '둘째 아들 기쁨의 편지'

더불어 우리 아들들도 자신의 어려움만 아는 게 아니라, 타인의 어려움과 고통을 공감하고 이해하며 걱정할 수 있는 선한 마음을 가진 사람으로 키우고 싶다는 생각이 들게 만든 저자의 둘째 아들 기쁨의 편지는 정말 감동 그 자체였다.

어쩌면 신이 감당할 수 있는 만큼의 시련을 주는 게 아니라, 시련을 함께 이겨낼 수 있는 소중한 사람들과 선한 이웃들을 곁에 보내 주시는 건지도 모르겠다. 함께 사랑으로 하루하루를 살아갈 수 있도록.......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