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 만큼 말하는 만큼 아이가 달라지는 부모의 말 - 자존감 높은 아이로 키우는 30가지 대화 법칙
호시 이치로 지음, 김수진 옮김 / 더블북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서평] 아는 만큼 말하는 만큼 아이가 달라지는 부모의 말, 더블북

아이들이 어렸을 적에는 몸이 힘들었다면, 아이들이 커갈수록 어떻게 말해야할지 몰라서 마음이 힘들다.

아이들이 올바르게 자라기 위한 마음으로 하는 행동과 말들인데, 그것이 서로에게 상처가 되고 있는 요즘이다.ㅠ

부모가 모범을 보이고 잘 해야 하는 것은 알고 있는데, 구체적인 방법을 잘 몰라서 힘이 든다.

그런데 이 책을 보는 순간 저에게 딱! 필요한 책인것 같아서 바로 읽어보기 시작했다.

아들러 심리학이 전하는 큰소리 내지 않고 아이를 변화시키는 말 한마디는 무엇일까?

자존감 높은 아이로 키우는 30가지 대화 법칙은 과연 무엇일까? 자꾸 궁금해서 기대감을 가지고 얼른 읽어보기 시작했다.

우선 아들러 심리학에서 배우는 아이의 의욕을 키워주는 7가지 법칙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1. '인격'보다 '행동'을 칭찬한다 - 이런 일을 하면 사람들이 기뻐한다는 행동 자체를 인정해주는 것이다.

2. '하지 못하는 것'보다 '할수 있는 것'을 본다 - 아이에게 자신이 이런 일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끌어내 보여주는 것이다.

3. '왜'보다는 '어떻게 하고 싶은지'가 중요하다 - 현재 아이의 상태를 부정하지 말고 인정해주면서, 어떻게 하면 좋을지 함께 생각해보는 것이다.

4. 주위와 비교하지 말고, 아이의 성장을 인정한다 - 자신이 전보다 좋아졌다고 느끼면 아이는 용기가 솟는다. 더욱 잘하고 싶다고 생각하게 된다.

5. '~한 아이'라고 단정 짓지 않는다 - 버릇없는 행동을 한다면 "지금 같은 행동을 하면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거란다. 다음부터는 하지 말자",

6. '강요'가 아니라 '제안'을 한다

7. '너(you)'가 아니라 '나(i)'를 주어로 말한다.

그럼, 1장에 제시된것처럼 아이의 의욕을 꺾지 않고 야단치는 부모의 말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1. '빨리빨리!'라는 말에서 벗어나라. 나도 부모님으로부터 어렸을 적 많이 들었던 말이다. 그런데 이 잔소리를 많이 들어도 나아진 적은 없는것 같다. '빨리 해줘서 정말 고맙다'고 말하면, 아이는 엄마가 기뻐하는 것을 보고 틀림없이 '나도 빨리 할 수 있다' 라는 생각을 마음속으로 하고 있을 것이다. 편식하는 아이에게는 식단과 요리 방법에 변화를 주고, "오늘은 당근 다 먹었네!" 라며 아이가 먹은 순간에 관심을 보여주는것이 현명한 방법이다.

2. 윽박지르기로는 아이의 마음을 움직일 수 없다. 이건 내가 아이들에게 하는 방법인데 전혀 효과가 없다. 효과가 없음에도 그만두고 싶은데 솔직히 히 뜻대로 잘 되지 않는다. 공공장소에서 큰 소리로 떼를 쓰거나 소란을 피우는 것은 주변 사람들에게 폐를 끼치는 일이라는 것을 가르쳐야 한다. "엄마는 네가 여러 사람들을 불편하게 하는 것을 보고 너무 슬펐단다. 다음부터는 그런 일 안 했으면 좋겠어."라고 부모의 기분을 이야기하는 것도 좋다. 감정적으로 꾸짖지 않아야 아이가 마음속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전찰 안에서 소란을 피운다면 "조용히 할 수 없는 것 같으니 다음 역에서 내린다"고 말하고, 정말 전철에서 내리는 것이다. 승강장에 잠시 있다가 "여기에 더 있을래? 아니면 앞으로 조용히 할래?"하고 아이가 선택할 수 있도록 묻는다. 아이 스스로 결정하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번에는 조용히 했네. 하지만 예정보다 15분이나 늦어졌다"라고 말해준다. 아이 스스로 결과를 체험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가르치는 것은 화를 내는 것과는 다름을 기억하라'는 말이 인상적이었다. 이상하게도 아이에게 항상 가르치게 되면 화를 냈던 기억이 많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런 행동이 싫은 것이나 그런 행동을 하는 아이가 싫은 것이 아니라는 점을 확실히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3. 조르기는 '참아야 하는 것'으로 납득시켜라.

4. 무작정 안 된다고 금지시키기보다 한계를 가르쳐라.

5. 산만한 때보다 차분할 때 주목하라.

6. 타인에게 도움이 되는 사람이 되도록 가르쳐라. 추긍하듯 윽박지르지 말고, 행동으로 확실히 보여주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아이의 존재 자체가 방해되는 것이 아니라, 아이의 행동이 잘못된 것임을 알려줘야 한다. 자신의 기분이나 욕구를 무는 행동으로 표시하는 아이도 있다. 그럴때는 자신의 감정을 말로 표현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7. 아이에게 공포심을 심어줄 필요는 없다. 머리끝까지 화가 치솟은 상태에서는 절대 야단치지 않는 것이 좋다. 이럴 때는 심호흡을 하고 3분 동안 기다려본다. 그래도 화가 가라앉지 않으면 그 자리를 뜨는 것이 좋다.

8. 애정보다 관심을 보여주어라. 아이의 행동과 감정에 관심을 가지고 인정해주는 것이 더 중요하다.

2장에서는 내 아이를 변화시키는 부모의 말, 3장에서는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격려하는 부모의 말, 4장에서는 진정한 용기를 심어주는 부모의 말이 담겨있다. 나머지 장의 내용도 궁금하다면 이 책을 꼭 사서 읽어보길 바란다. 자녀를 둔 부모라면 바로 읽고 실천해야 할 말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