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야의 초록 리본 ㅣ 사계절 아동문고 97
박상기 지음, 구자선 그림 / 사계절 / 2020년 6월
평점 :
2학년 통합시간에 동물들의 겨울나기를 배운다. 동물들을 도와주기 위해서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생각해보는 시간들도 있었는데 그때 <지혜로운 멧돼지가 되기 위한 지침서>를 함께 읽었다. 근본적인 것을 말해보고 싶었다. 멧돼지가 민가까지 내려오는 이유, 그래서 사람이 사람을 지키겠다고 무기를 꺼냈던 것이다.
비겁하고 이기적인 모습에 아이들은 조금 당황한 기색이었다. 우리는 ˝공존˝을 생각하나? 우리 멋대로 ˝판단˝하여 ˝유해˝라는 것으로 분류하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 일인지 느껴진다. 도야에게도 그런 일이 있었다. 사람을 유해동물로 판단하여 아이를 지킬 기회를 놓쳤었다. 그래서 도야는 사람의 물건으로 이해하려고 하고 공존을 생각한다.
그리고 도야는 산 속 동물들과도 ˝공존˝을 위해 노력한다. 서로의 경계를 허물면서, 서로가 조금은 나누면서 힘든 겨울나기를 함께한다. 우두머리 도야가 때로는 엄격하지만 포용하기에 가능했던 이야기다.
처음 솔랑이 두 발 괴물과 화해하면 안 돼냐고 하는 부분에서 화해가 맞는지 계속 생각이 났다. 화해라는 것은 누군가 잘못해서 그 일이 대해 사과와 용서가 있는 것인데 그것을 동물들이 먼저 꺼내다니.. 용서할 마음이 있기에 화해라는 단어를 꺼내는 것인데 픽션이지만 부끄럽고 마음 아팠다.
산 속 동물의 삶으로부터 공존의 방법을 배울 수 있는 책이었다.
Q. 해랑이와 솔랑이의 성격차이
한 번도 가보지 못한 울긋불긋 예쁜 붉은 산을 위험을 감수하고도 간다vs 평탄하지만 심심한 잣나무 숲에서 계속 산다
-> 나라면 위험한 도전은 하지 않았을 것 같다ㅠㅠ
Q. 원래 잣나무 숲에 살고 있던 고라니들은 초록 리본을 보고 무엇이라고 생각했을까?
"그냥 두 발 괴물과 화해하면 안 돼요? 그러면 싸우지 않아도되잖아요." "어휴, 순진한 꼬마 같으니....…." - P93
"우리가 해를 끼친다고? 웃기는 소리! 인간이야말로 산에서나는 우리 먹이를 다 빼앗아가잖아. 게다가 넓은 땅은 죄다 인간이 차지했다고, 북쪽 잣나무 숲으로 가는 길을 막아 버린 건또 어떻고, 대체 누가 유해 동물인지 모르겠군." - P112
"그야 그렇지. 나는 우리를 해치는 인간하곤 상대하고 싶지않아. 하지만 우리를 좋게 생각하는 인간은 대체 어디에 있으며, 어떻게 소통해야 할지 모르겠단 말이지."
인간에게 방해된다고 판단하면 제거 대상이 되지요. 사실은 짐승의 자유로운 삶을 인간이 막고 있는데도요. 이야기를 써 내려갈수록 미안한 마음이 들었어요. 특히 인간에게미움받는 짐승들에게요. 사람이 먼저 벌인 일이니, 이제는 먼저 손을내밀면 좋겠어요. 우린 모두 같은 지구별의 주민이잖아요.
사람과 짐승이 초록 리본으로 이어지길 꿈꾸며박상기 - P16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