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린 개가 왔다
정이현 지음 / 한겨레출판 / 2025년 6월
평점 :
누군가의 삶이 다가온다는 것은 가볍지만은 않은 일이다. 처음에는 으레 그렇다. 보고 있으면 사랑스럽고, 오래도록 같이 있고 싶은 마음. 하지만 자라나는 애정과 걱정은 비례한다. 지금 이 친구 인생이 통째로 나한테 오는 거라고? 그런 질문과 스스로에 대한 의심이 가지를 뻗는다. 더욱이 인간은 독립하기 마련이지만, 동물은 그렇지 않다. 나는 이 친구의 유년기와 성장기, 그리고 노년기까지 함께하게 될 것이다. 모든 반려인들이 한 번쯤 했을 고민이 내게도 있었다. 한 생명을 온전히 책임질 수 있을까. 그러나 고민이 채 끝나기도 전에 만남은 이르게 찾아왔다. 내 '어린 친구'는 햄스터였다. 지인이 기르던 햄스터가 새끼를 낳았다. 지인의 입양 권유에 우리 가족이 새끼를 집으로 데려오기로 했다. 입양 며칠 전부터 햄스터 공부를 하느라 몸이 열 개라도 부족했다. 톱밥, 먹이, 물통, 이갈이 용품, 케이지 등 햄스터가 살기 편안한 환경을 만들어보려고 다들 용을 썼다. 이럴 거면 준비를 더 하고 데려올걸, 하는 아쉬운 소리도 나왔다. 그렇지만 우리는 알고 있었다. 누군가를 '맞이할 준비'라는 건 평생 되지 않는다는 것. 초보 반려인 입장에서는 아무리 준비해도 부족해 보이는 법이다. 그래서 마음을 고쳐먹었다. 어떤 어려움이 있든 하나씩 헤쳐나가 보자고. 벌써부터 무서워하지 말고. 우리는 그 아이 삶에서 한평생, 장거리 레이스를 할 사이니까.
정이현 작가의 『어린 개가 왔다』는 나의 아주 오래된 페이지를 펼쳐보게 했다. '어린 친구'와 같이 살던 날. 모든 게 낯설고 새로워 겁내기도 하고 들뜨기도 했던 시절로 돌아간 듯했다. 지금 정 작가의 모습은 과거의 내 모습이기도 했다. 종이 다를지언정 반려인들이 하는 생각은 놀랍게도 비슷했다. 특히 루돌이를 작명하는 대목에서 웃음을 참을 수 없었다. 우리 가족이 막 데려온 햄스터의 이름을 '봄'으로 할지, '군밤'이로 할지 선택의 기로에 놓인 날이 떠올랐다. 정작 나의 어린 친구는 이름보다도 당장 먹을 견과류가 중요했겠지만, 나는 정말이지 그 친구에게 어울리는 이름을 주고 싶었다. 그런데 나의 이런 고집이 특이한 케이스는 아니었나 보다. 작명에 열을 올리는 정 작가의 가족 이야기를 읽으며 가슴 한편이 따끈해졌다. 작가의 말을 빌리자면, 무엇보다 선명한 '환대의 기운'이 거기 있었다.
어쩐지 맑은 환대의 기운이 주변에 깃드는 것도 같았다. 이름을 한 번 부를 때마다 아, 이 아이가 이런 아이구나 알게 되면 좋겠다는 간절한 바람을 담아 나는 자꾸 그 이름을 불렀다. (본문 81쪽)
돌프를 보며 좋아하는 견과류를 갉작거리다 톱밥 사이에 숨겨놓던, 내 어린 친구의 모습이 불쑥불쑥 생각났다. 그러면 행복하다가도 그리워졌다. 어떻게 보면 이번 독서는 반려동물과 함께 했던 기억을 복원하는 여정일지도 모른다. 어린 친구와 내가 처음 만났던 날, 서로를 알아보고 반겼던 날이 다시금 눈앞으로 다가온다. 빛바래지 않은 선명함으로.
출판사로부터 도서 제공을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