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이 사랑에 대해 말해줄 수 있는 모든 것 - 진화인류학자, 사랑의 스펙트럼을 탐구하다
애나 마친 지음, 제효영 옮김 / 어크로스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이란 무엇인가. 옥시토신과 세로토닌, 도파민과 같은 신경물질의 혼합인가? 이 책은 사람이 사람과 관계를 맺고 사랑의 감정을 느끼는 데 일어나는 변화에 관해 과학적인 면에서 설명할 수 있는 갈래들을 짚어 이야기한다. 우리가 누군가에게 끌림을 느낄 가능성이 높은 것, 유전자가 사랑에 미치는 영향, 종교와 신에 대한 사랑, 통제와 구속의 욕망 등등 다방면의 측면에서 각 소주제별(생존, 중독, 애착, 우정, 개인, 사회, 독점, 신, 통제, 동기)로 사랑이 갖는 특징들을 설명한다. 애착 관계를 기반으로 부모와의 관계, 이성적 연애, 신과의 관계까지도 살펴볼 수 있다. 


 흥미로웠던 건 모성애와 부성애의 생물학적 변화 차이. 엄마는 변연계가 활성화되어 아이에게 애정을 쏟아 돌보는 존재임을, 아빠는 신피질이 활성화되었는데, 이는 복합적 사고와 과제를 해결하고 계획을 세우는 데 필요한 사회적 인지능력과 관련된 영역이라, 아이의 시선이 세상을 향하도록 독자적 자립심을 기를 수 있게 가르치고 격려하는 책임을 담당하게 되는 거라 한다. 또 사랑하는 사람과 곁에 있으면 혈압과 체온, 심장박동이 같아진단 것도 신기했다. 사랑은 감정이 아니라, 굶주림이나 갈증, 피로와 같은 욕구와 더 비슷하다고 한다. 감정보다 훨씬 범위가 넓은 개념이라고. 하긴, 그런 것 같다. 무엇 하나로 설명하기 어려운 다양한 감정들이 딸려있으니. 


간만에 과학교양수업 같았던 책. 학부때 이런 사랑에 관한 수업은 안들었었는데, 만약 들었다면 이 책에 있는 내용이 있었지 않을까 했다. 가끔은 어렵고 가끔은 재밌고 한 번도 생각해보지 않은 측면에서 익숙하다 생각하던 것을 바라보는 경험은 꽤 흥미로웠다.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읽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