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없는 어른도 꽤 괜찮습니다 - 내 삶을 취사선택하는 딩크 라이프
도란 지음 / 지콜론북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g:단 서포터즈 ] 아이를 낳는 건 간단한 일이 아니다. 


 이 책에서는 딩크(Double Income No Kid, 맞벌이 무자녀 가정)를 선택한 저자의 솔직한 마음과 주변과의 갈등들, 딩크를 결심한 과정들과 그 이후의 삶의 모습들을 보여준다. 쉽지 않은 선택인만큼 왠만큼 단호한 결단이 아니고서야 주변의 시선과 말들을 견뎌내기란 여간 쉬운 게 아닌 듯 했다. 방송에서도 누군가 결혼한지 꽤 됐지만 아이 없이 산다고 하면 많은 질문들과 많은 감정 섞인 눈빛들이 뒤따른다. 아, 보는 것만으로도 피곤하다. 


 딩크를 말하고 많은 사람들에게 시달리는 저자가 우리 사회가 다양한 가족의 모습을 인정하면 좋겠다고 말하는 대목이 있다. 이에 얼마 전에 자발적 비혼모로서 출산을 선택한 방송인 사유리씨가 생각났다. 그녀에 대한 우리 사회의 관심도 못지 않게 따갑기도 했다. 그저 그대로 인정해주면 되는데 그녀의 선택에 대해 사람들은 아주 많이 궁금해했다. 응원하는 사람 못지 않게 비판하는 사람도 많았다고 한다. 비판하는 이유로 드는 말들은 딴에는 중요하다는 많은 이유들이었겠지만 사실 짚고 싶은 포인트는, 그렇게 말하는 사람들이 그녀의 인생을 사는 게 아니라는 점이다. 또한 그들이 그녀의 아들인 것도 아니다. 그냥 유명인의 사생활에 개입하고 싶어하는 다수의 타인일 뿐이다. 그리고 그들은 사회에서 한부모가정이나 부모님이 아닌 사람과 살고 있는 아이를 보면 불쌍하다고 생각하는 편협한 시각을 가진 사람일지도 모른다. 누구든지 불쌍할 이유는 없다. 이제 우리 사회는 하나의 잣대로 타인을 평가하는 시대가 아니다. 그렇게 변하고 있고, 마땅히 그렇게 되어야 한다. 출산의 권리도 인정받아야한다는 그녀의 선택과 말들을 존중한다. 그러나 스스로에게 비혼모로 출산한 점이 비난받아 마땅하다 생각한다는 말에는 동의할 수 없다. 그건 전적으로 비난한 사람들의 잘못이다. 다수가 아니라는 이유로 차별받는 건 부당하다는 인식은 이제 누구에게나 있어야 하지 않나. 


 나는 내 미래, 내 아이에 대해 그저 두루뭉술 정해지지 않은 미지의 영역이라 생각하고 있다. 나는 내가 아이가 낳고 싶을 때 또는 낳고 싶지 않을 때 출산에 대한 선택을 하고 싶다. 낳지 않겠다고 못 박는 것도 지금 결정할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내게 계획이 없는 불확실성은 불안한 게 아니라 언제든 미래는 바뀔 수 있는 거니 가능성을 열어두는 것뿐이다. 미래의 나의 결정을 존중하는 태도인 것이다. 딩크이든 아이이든 어떤 선택이든 존중받을 가치가 있다. 괜히 타인의 선택에 대해 왈가왈부하며 이리저리 참견하기보다 누구든 자신에게 더 집중하는 삶을 사는 게 현명하지 싶다. 

+ 이 책 저자님도 아미시라는 tmi . 읽는 책 곳곳에 방탄 얘기가 나오다니. 아미는 어디에나 있는 사랑과 같은 존재..🙄 


 * 지콜론북 서포터즈로서 해당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