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인 1퍼센트 부의 지름길 - 가난하더라도 부자의 줄에 서는 유대인의 부자 습관
김정한 지음 / 레몬북스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즘 좀 이런책에 눈이 많이 간다

지금 나는 잘 살고 있는지.. 어떻게 하면 더 풍요롭게 살 수 있는지..

아마도 이런 질문은 죽을때까지 스스로에게 되 물어보지 않을까싶다


사실 처음에 이 책의 제목을 봤을때는

돈을 버는 방법이라던가 효과적으로 돈을 쓰는 방법 뭐 그런 직접적인 것들을 알려주려나 싶었다

그런데 읽어보니 그보다는 탈무드를 바탕으로 한 삶의 지혜에 가까운 내용들이다

책은 총 4개의 챕터로 되어있다

part.1 성공하며 가치 있게 사는 삶

part.2 더 나은 미래를 준비하며 사는 삶

part.3 부를 실천하며 사는 삶

part.4 사랑하며 용서하며 지혜롭게 사는 삶

부제로 쓰여있는"가난하더라도 부자의 줄에 서는 유대인의 부자 습관"이 이 책을 더 잘 설명하는 것 같다

좋은 인맥 관리 17계명

01. 지금 힘이 없는 사람이라고 우습게 보지 마라

02. 평소에 잘해라

03. 내 밥 값은 내가 내고 남의 밥값도 내가 내라

04. 고마우면 고맙다고, 미안하면 미안하다고 큰 소리로 말하라.

05. 남을 도와줄 때는 화끈하게 도와줘라

06. 남의 험담을 하지 마라

07. 직장 바깥의 사람들도 골라서 많이 사귀어라

08. 불필요한 논쟁, 지나친 고집을 부리지 마라

09. 회사 돈이라고 함부로 쓰지 마라

10. 가능한 한 옷을 잘 입어라

11. 남의 기획을 비판하지 마라

12. 조의금을 많이 내라

13. 약간의 금액이라도 기부해라

14. 수위아저씨, 청소부 아줌마, 음식점 종업원에게 잘해라

15. 옛 친구들을 챙겨라

16. 너 자신을 발견하라

17. 지금 이 순간을 즐겨라




유대인들은 탈무드를 항상 옆에 두고 읽는다고하는데

오래전 한 번 읽고 책장에 꽂아둔 나에게 탈무드의 지혜를 다시 상기시켜주는 내용이었다

저자가 15년간 고등학교 교사로 근무했다고 하는데 그래서 그런지 글도 굉장히 쉽고

마치 선생님이면서 부모의 입장에서 자녀를 바른 길로 이끄는 듯한 느낌의 책이다

어렸을때 우리 부모님은 이런 얘기를 해준 적이 없지만

이제라도 뒤늦게 책으로 배운다ㅎㅎㅎ


사람은 얼마나 오래 살았느냐보다 사는 동안 얼마만큼 훌륭한 일을 했는지가 더 중요하다.

성공한 사람들의 특징 하나는 자기관리다. 자신에게 가혹할 정도로 철저하게 관리를 한다.

현실을 객관적으로 파악하며 맺고 끊음에 정확하다.

내일 성공하고 싶다면 오늘 뿌듯한 마음이 들 만큼 치열하게 살아야 한다.

시간의 주인이 되어 나답게 철저하게 치열하게 보내는 것, 그것이 정답이다.

p.57

요즘 코로나가 주춤하면서 다시 의욕적으로 살아보려고 하다가 또 갑자기 이태원 클럽 사태가 발생하는 바람에

그럼 그렇지 하고 낙담하고 있었는데 주변 상황에 흔들리지 말고 내 스스로 마음가짐을 다 잡아야 겠다.

요즘 우리나라도 그렇고 전 세계적으로 상황이 상황인만큼 이럴때일수록

좀 더 힘이 되고 동기부여를 할 수 있는 이런 내용의 책을 읽으면 좋을 것 같다.

절대로 고개를 떨구지 마라. 고개를 치켜들고 세상을 똑바로 바라보라

Never bend your head. Hold it high. Look the world straight in the eye.

헬렌 켈러


한 사람의 심성과 이성을 이해하려면 그가 지금까지 무엇을 이루었느냐가 아니라

앞으로 무엇을 하고 싶어 하느냐 하는 포부를 살펴봐야 한다.

칼릴 지브란

"나는 너무나 작고 보잘것없어서 세상을 바꿀 힘이 없어."

이런 생각은 옳지 못하다. 세상에서 일어난 모든 문제는 사람이 시작한 일에서 생겼다.

그러므로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세상은 바뀔수 있다.

p.109

두번째 챕터까지는 탈무드의 지혜를 실천하는 유대인의 생활 습관과 삶의 자세같은 개개인의 삶에 적용할 수 있는 내용이었다면

세번째 챕터 '부를 실천하며 사는 삶'에서는 가족과 부모의 역할, 바람직한 교육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 부분은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이 읽으면 좋을 것 같다

입시위주, 성적위주의 교육인 우리나라의 학습방법은 아이들이 공부에 흥미를 느끼기가 쉽지않다

반면 유대인들은 아이들이 어렸을때부터 알파벳 모양의 쿠키를 먹는다거나 단어 하나를 외울때마다 꿀을 입술에 뭍혀주는 등

"공부는 달콤하다"는 생각이 들도록 자연스럽게 흥미를 유도한다고 한다

그러면 당연히 주도적으로 공부하는 습관을 들일테고 누가 강요하지 않아도 책상에 앉게되는 것이다

싫으면 하지 말되, 하려면 최선을 다라하


현재의 그릇인 몸을 열심히 사용하라. 내일이면 깨질지 모르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