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어원사전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시리즈
이재운 지음 / 노마드 / 2018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고조선 시대부터 광복 이후 시대를 다루면서

그 때 중에 생겨난 말들이 어떻게 생겨났는지에 대해 기록해 놓은 책이다.


이 책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하나는 시대별로 그 당시에 생겨난 말의 어원에 관한 부분이며

또 하나는 부록으로 우리나라 말에 영향을 준 국가나 종교나 단체에 대해 쓴 부분이다.


한번 생각해 보았다.

지금 많은 사람들이 쓰고 있는 말들중엔 신조어가 많이 있다.

그 중에 어떤 말은 그와 유사한 의미를 가진 언어보다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안습을 들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안습은 개그맨 지상렬씨가 만든 언어로 알려졌다.

안습이란 안구에 습기차다 라는 말로 눈가가 촉촉해진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슬프거나 안타까운 상황에 닥쳤을 때 쓰이는 단어이다)

그런데 지금 많은 사람들은 그런 상황을 표현할 때

"나 눈가가 촉촉해졌어." 보다는 "나 안습이야" 라는 말을 더 많이 사용함을 볼 수 있다.

그리고 그 공로(?)를 인정받아 국어사전에도 정식으로 등재되는 행운(?)을 얻었다.

처음 그 단어를 들었을 때는 '무슨 그런 말을 쓰냐' 며 비판을 받았지만

지금은 사회에서 통용되는 언어가 되었다는 점에서

지금 우리가 쓰고 있는 언어중에 과연 몇 가지가 살아남아(?) 100년 후 후손들에게 전해질지

그런 재미있는 상상을 해 보며 이 책을 읽었다.


특별히 나에게 인상 깊었던 부분은 두번째 부록 부분이다.

이 책 서론에는 이런 글이 적혀있다.


우리말은 원래 알타이어계통으로 시작하여 만주어, 몽골어, 퉁구스어, 일본어, 터키어와 같은 갈래지만 불교와 도교등의 수입으로 문자가 절실하던 삼국시대에 한자 한문을 도입해 사용하였다. 게다가 몽골제국 원이 전 세계를 지배할 땐 몽골 황실 공주들이 고려 왕실로 시집오면서 많은 몽골어가 들어옵니다. 또한 몽골군이 개척한 실크로드를 따라 중앙아시아언어, 중동 언어, 동유럽 언어 까지 들어옵니다. 조선 말기에는 유럽의 어휘들이 쏟아져 들어오고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어가 홍수처럼 들어옵니다. 광복 이후는 미군정이 실시되면서 영어 위주의 언어가 들어옵니다.


서론에서 간략하게 설명되었던 이 부분을 저자는 부록에서 자세히 풀어 놓는다.

어떻게 언어가 들어왔고 어떤 언어가 들어왔는지에 대해 자세히 독자에게 설명해 준다.

이 책이 단순히 어원에 관한 책이라고만 알고 있지만 부록을 통해 이런 역사적인 사실도 기록해 놓았다는 점을

기억하면서 이 책을 읽으면 이 책에서 더 많은 것을 얻어갈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을 읽어본 후에 인터넷을 통해 순우리말을 찾아보았다.

그리고 하나하나 살펴본 결과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는 순우리말은 20% 정도나 될까 싶었다.

그 나머지 80%가 앞서 언급한 역사로 인해 들어온 말들이다.

그리고 이젠 순우리말과 굳이 구분을 지어야 할까 싶을 정도로 우리 삶 깊숙히 들어와 버렸다.


그리고 그 자리를 또한 신조어들이 비집고 들어오고 있다. (앞서 언급한 안습처럼)

그 전에는 우리나라의 아픈 역사로 인해 언어가 혼용되었다면 지금은 인터넷의 발달로 인해 언어가 혼용될 것이다.


앞으로 100년 후 우리 후손들은 어떤 언어를 사용할까?

100년 후에 이런 책이 다시 출간된다면 '인터넷에서 사용되었던 언어로서~' 라는 말이 여러 언어 어원에 붙지 않을까 싶다.


언어는 지금도 변하고 있다.

어떤 언어가 100년 후에도 쓰이게 될까를 생각하면서 이 책을 읽는다면

좀 더 재미있게 이 책을 읽을 수 있지 않을까 싶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좋은 점과 아쉬운 점을 들자면

좋은 점은 어원을 정리할 때 자음순서대로 정리해서 궁금한 언어의 어원을 찾기 편했다는 점이고

아쉬운 점은 '잘못쓴 예'라는 부분이 있는데 이게 왜 잘못 쓴 예인지 자세한 설명이 없다보니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