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2 - 태조.정종실록 ㅣ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2
박시백 지음 / 휴머니스트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비교적 평화적(?)으로 새 나라를 연 태조 이성계.
짜고 치는 고스톱마냥 신하들의 청을 못 이긴척 받아들여 불안의 씨앗이 될 지도 모를 고려 왕씨들을 전부 수장시켜버린다. 뿌린대로 거둔다고 후에 피눈물 흘리게 되는게 왕씨들의 원한 때문은 아닐런지? 죄없는 사람들을 그리 죽였으니 말이다.
태조는 한 동안 유지했던 고려라는 국호를 조선으로 바꾸고, 떨떠름한 개경 대신 새로운 도읍지도 선정하여 이사갈 준비를 하며 차근차근 나라 기틀을 세워가기 시작한다.
모든 것이 그의 뜻대로 될 것 같았으나 그는 결정적인 실수를 하나 저지른다. 장성하여 공을 세운 범같은 아들들을 제끼고 신덕왕후 강씨 소생의 철부지 막내를 세자로 책봉해버린 것이다. 아들들의 반발은 당연히 예상가능한 것이었지만 자신이 왕이니 큰 문제는 없을거라 생각한 모양이다.
태조와 정도전의 조합. 환상의 콤비인 것은 분명한 듯 하다. 조선 개국 초의 아이디어들은 거의 대부분이 정도전의 머리 속에서 나왔다고 해도 과언은 아닌듯 싶다. 이 책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 건 명나라 측에서 정도전을 껄끄럽게 생각했다는 것이다. 위협적이라고 느껴질 정도로 잘난 인물이었다는 것이다.
실록에 실린 제1차 왕자의 난에 대한 설명은 뭔가 찜찜하다. 역사라는 것은 승리자의 입장에서 서술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승리자 태종의 입장에서 쓰여졌으니 어쩌면 당연한건지도 모르겠다. 덧붙여 정도전에 대한 평가가 한없이 깎여내려간 것도 말이다.
1차 왕자의 난으로 조정을 장악한 정안군은 그래도 얼굴에 철판이 깔리진 않았는지 둘째 형 방과를 왕으로 세운다. 의외였던 건 보통 사극에서 자주 본 것처럼 권력의 비정함에 환멸을 느낀 태조가 스스로 왕좌를 넘겨준게 아니라 사실은 정안군 측근들의 압박으로 어쩔 수 없이 자리에서 물러났다는 대목이었다.
어찌됐건 얼떨결에 왕이 되어버린 정종. 보통 사극의 연약한 이미지와 다르게 격구를 좋아하는 무인기질이 강한 사람이었다. 태조에게도 효성스러웠고 자식을 낳지 못한 부인 정안왕후와도 끝까지 금슬이 좋았다고 하니 성격도 좋은 모양이다. 전체적으로 둥글게 둥글게 산 사람인 듯 싶은데 살았을 때야 편히 살았는지 모르겠으나 죽어서 한 동안 왕 대접을 받지 못했다고 하니 조금은 불쌍하기도 하다.
2차 왕자의 난을 끝으로 대충 주변 정리가 다 된 후 세자로 책봉된 정안군. 사병정리를 끝으로 왕이 될 준비를 모두 끝마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