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3 - 태종실록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3
박시백 지음 / 휴머니스트 / 2005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산전수전 다 겪고 드디어 원하던 임금 자리에 앉게 된 태종. 모든걸 마음대로 할 수 있을 것처럼 보였지만 아버지를 쫓아내고 형제를 죽인 일로 정통성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 이에 태조의 기분을 맞추려고 노력하지만 태조는 쉽게 마음을 풀지 못 한다.  

함흥차사의 진실이 한 달간의 외출(?)이란 사실은 조금 놀라웠다고 할까? 조사의의 난이 실패하고 너무나 쉽게 꼬리를 내리고 얌전해진 태조의 모습은 이제껏 사극에서 봐왔던 노발대발하는 모습과 달라 의외였다.   

명나라 황제의 승인도 받았겠다 안으로 밖으로 근심걱정 사라진 노련한 정치가 태종은 슬슬 공신길들이기에 나선다. 그리고 다음 타자로 처갓집을 노리는데....외척의 힘이 강해지는 것을 경계하여 시작한 일임에는 틀림없으나 너무 가혹했다고 할까? 아무튼 민씨 일가는 풍비박산이 났다. 

별일이 없다면 다음 군주가 될 세자 양녕대군. 태종은 그를 위해 피를 흘리며 많은 밑작업을 해뒀겄만 양녕은 공부는 아니올시다 체질이었는지 계속 엇나간다. 야사의 멋진 양녕대군을 기억하고 있던 나로서는 실록에 적혀있는 양녕대군의 모습은 영 실망스러웠다.  

놀기좋아하는 세자와 공부하기 좋아하는 셋째. 참 비교 안할래야 안 할 수가 없을 것 같다. 그저 얌전히 공부만 하고 계실 줄 알았던 충녕대군이 양녕을 도발하는 행동들은 의외의 모습이었다. 센님같은 줄만 알았더니 승부사 기질이 있었던걸까? 

공신들 쥐잡듯이 다 잡아대던 태종도 어쩔 수 없는 아버지였는지, 양녕의 탈선에도 참으며 좋은면을 보려고 노력하는 모습을 여러 번 보여준다. 그러나 그것도 한 두번이지. 여기에 양녕의 어이없는 글로 태종은 노발대발. 결국 양녕대군은 폐세자 되고 충녕대군이 세자로 책봉된다. 그리고 40일도 채 안되 충녕에게 자리를 넘겨주고 상왕으로 물러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