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의 메모 달인들 - 14인 메모광들의 성공신화
최효찬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0년 2월
평점 :
품절
내가 메모를 시작한 건 대학교 입학 후부터였다.
강의마다 요구하는 과제와 제출기한이 제각각이다보니 햇갈리지 않게 탁상 달력에 표시를 해놓은게 그 시작이었다. 여기에 가족과 친구의 생일, 아르바이트 일정이랑 모임(동아리와 과모임) 등을 표시했었다. 기숙사 방에서만 일정 확인이 가능했던 탓에 얇은 스케쥴러를 하나 사서 달력에 표시한 걸 그대로 옮겨적어 가지고 다녔었다.
지금도 크게 다르지 않다. 보통은 나랑 비슷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새해가 되면 주변에 너도나도 다이어리 스케쥴러를 많이 사던데, 제대로 활용하는 사람을 본 적이 없다. 1월부터 3월 정도까진 (굳이 일정이 아니더라도) 뭔가 빽빽하던데 5월달 이후로는 그냥 듬성듬성 하얀 여백이 많이 남는 수첩을 본 게 한 두번이 아니다.
시간관리, 메모 활용...
이건 매해 날 고민하게 만드는 키워드인 것 같다. 그래서 도움이 될까 싶어 <한국의 메모 달인들>을 읽게 되었다.
정말 제목처럼 메모의 달인들이 많이 등장한다. 그들의 메모하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도 나온다.
읽으면서 고개를 끄덕끄덕하며, '나도 이렇게 해야지'하고 생각을 했다. 금방이라도 따라할 수 있을 것만 같았다.
책을 덮고 나니깐, 눈앞이 깜깜하다. 어떻게 메모를 하고 어떤 내용들을 쓴다더라는 걸 머리로는 이해를 했는데, 막상 실제로 해보려니 잘 안된다. 책에 대한 정보를 찾다보니 이 책이 <메모의기술2> 개정판이라는 이야기와 실제 메모 사진들이 개정전 구판엔 실려있었단 사실을 알게 되었다. 예시로 사진을 보여줬더라면 좀 더 이해하기 쉽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어느 분야에서 최고수가 되려면 10년간의 집중적인 투자가 있어야 하며 그 이후에는 큰 변화가 온다. - 앤더스 에릭슨 -
남보다 앞서나가는 사람은 머리가 좋은 사람이 아니라 메모를 잘하는 사람이다.
지금부터라도 시작하면 삶이 변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