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옥문도 ㅣ 시공사 장르문학 시리즈
요코미조 세이시 지음 / 시공사 / 2005년 7월
평점 :
절판
긴다이치 코스케와의 4번째 만남.
어쩌다보니 시간의 흐름과는 반대로 책을 읽게 되어 점점 젊어지는 그를 만나고 있다. 왠지 다음엔 <혼징살인사건>을 읽어야할 것 같은 의무감도 생긴다.
나는.....죽고 싶지 않아.
내가 돌아가지 않으면 세 누이동생들이 살해당할 거야...
긴다이치 군, 나 대신.....나 대신에 옥문도에 가 주게...
전우의 부탁으로 옥문도로 향한 긴다이치 코스케.
뭔가 일어날것만 같아서라는 그의 예감대로 기토 가의 세 자매가 차례대로 살해당하는 일이 발생한다.
범죄 장소로 섬같은 고립된 장소가 선택되는 것은 추리소설의 흔하다면 흔한 그런 설정이다.
옥문도는 고립된 곳은 맞지만 애거서 크리스티의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에서 나오는 섬과 달리 탈출 자체가 아예 불가능한 그런 장소는 아니다.
선주가 있고 그의 지배를 받는 어부로 구성된 옥문도 주민간의 관계는 마치 봉건시대의 영주와 농노 같은 관계로 보인다. 전쟁 직후 일본 전체가 현대화 되어가는 와중에 옥문도만은 전통적 인습의 지배를 받는 시간이 멈춘 장소로 표현되고 있다. 여기서의 '섬'이라는 배경은 장소적 고립보단 가치관의 정체 혹은 고립을 표현하기 위한 수단이다.
가끔 외국인이 쓴 추리 소설을 읽을 때 난감한 경우가 있다.
그 나라 특유의 무언가로 트릭을 설정하는 경우다. 대표적인 경우가 언어로 장난을 친 경우다.
셜록홈즈 시리즈 중 <얼룩무늬 끈>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얼룩무늬끈'이라고 번역된 단어는 band다.
band에는 여러가지 뜻이 있는데 그걸 알고 있다면 이야기 이해하는데 쉽다. 모르고 있다면 나중에 추리하는 부분에서 왜 집시무리랑 끈이랑 헷갈리는 그런 착각을 하게 되는건지 의아해할지도 모른다.
<옥문도>가 오래전에 <얼룩무늬 끈>을 읽으면서 '뭔소리야?'했던 추억을 되살려줬다.
이제까지 읽은 요코미조 세이시의 소설 중 가장 일본적(?)이었다고 말하고 싶을 정도다. 여기저기 소소하게 뭔가 많이 나온다.
일본관련 지식이 많이 부족해서 일본전통의상 등을 언급하며 인물묘사하는 부분의 이미지 그리기가 상당히 어려웠고, 모르는 이야기가 많이 나와서 밑에 각주 달아놓은걸 참고하며 읽느라 몰입도가 점차 떨어져갔다. 결정적으로 추리의 단서라고 할 수 있는 부분에서는 그냥 두손 두발 다 들었다.
하이쿠라는 일본 특유의 시와 일본어의 미묘한 발음차이로 인한 착각.
옮긴이도 이를 염려해서 원문을 살리고 발음을 달아놓는 등의 수고를 해뒀지만, 일본어 까막눈인 나에겐 아무런 소용이 없었다. 트릭을 설명하는 부분에서 이해력이 떨어지는 것도 어쩔 수 없었고 그러다보니 재미가 떨어지는 것도 어쩔 수 없었다. 이건 작가의 한계가 아니라 독자인 나의 한계다.
<옥문도>는 내가 가장 선호하는 수수께끼 위주의 추리소설임에도 내가 부족해서 재미가 반감된 탓에 많이 아쉬웠던 작품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