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커리어 - 업의 발견 업의 실행 업의 완성, 개정판
박상배 지음 / 다산북스 / 201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0년 후 당신은 무엇을 하고 있을 것인가"

이 책은 나를 이 한 문장으로 이끌었다. 세상은 급변하고 있고, 나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은 점점 많아지고 있다. 나의 업무상 어디를 가든 신입이니 10년 후가 아니라 3년 후 지금 당장이라도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다. '평범한 직장인을 대체 불가능한 프로로 만드는 기적의 커리어 코칭' 어쩌면 마케팅 요소일 수도 있는 문구에 나는 빠져버렸다. 그만큼 매말라있었기 때문이다. 


급변하는 사회일수록 빅 커리어가 필요하다. 변화를 읽고 대응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커리어의 본직은 뒤로 한 채, 오직 변화를 쫓기에만 급급하면 안 된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커리어의 본질을 어떻게 발전시켜 어떤 변화에도 흔들리지 않도록 할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이것이 빅 커리어의 핵심 요소다. (p39)


본깨적 독서법? (본 것, 깨달은 것, 적용할 것)

저자 박상배님은 10년동안 평범한 직장인으로 보냈다. 작가님은 미래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책을 읽으며 이제는 독서 경영 전문 컨설턴트가 업이 되었다. 이 책의 용어로 말하면 취미를 프로젝트로 만드는 어려운 작업에 성공하신 분이다. 자신의 성공 노하우 '본깨적 독서법'에 대해 여러 권의 책을 저술하였고, 강의 및 컨설팅을 하고 있다. <빅 커리어>도 많은 기업, 관공서, 사회단체 등을 컨설팅하고 많은 직장인들을 커리어 코칭을 진행한 결과물들을 담아낸 책이다. 10만 직장인의 사례들이 있기에 믿을 수 있고, 비록 직접 만나서 코칭을 받을 수는 없지만 이 책을 통해 실행 가능한 코칭을 받을 수 있다.


직장인의 비극

"지금 하고 있는 일에 만족하지도, 전력을 다하지도 못하는 것이 대다수 직장인들의 현실입니다. 여기에는 만족도 탁월함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직장인의 비극이지요." (p60)

'직장인의 비극'은 남의 일 같지 않았다. 나를 반성하면서도 워라벨'을 외치는 시대에 전력? 탁월함? 만족도? 이것이 시대에 맞는 것일까? 라는 의문점이 들었다. 하지만 바로 뒤에 자신의 업무를 업무의 중요성과 강점 매트릭스를 통해 프로젝트 - 스트레스 - 취미 - 쓰레기로 나눠보며 의구심을 자동으로 풀 수 있었다. 원하는 성과를 내기 위해 모든 일을 끌어안지 말고 버려야 할 일은 버려야 한다는 것이다. 잘 버리는 것만으로도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고, 빅 커리어를 쌓을 수 있기 때문이다. 


8-56-33 프로젝트

빅 커리어 모델 중 하나인 '8-56-33 프로젝트'를 이 책에서 소개한다. 8주, 즉 56일동안 매일 33번씩 목표를 쓰는 것이다. 단순히 목표만을 33번 적는 것이 아니라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한 아이디어를 고민하고 실행해야 한다. 처음에는 조금 터무니없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목표를 매일 33번 적는다고 이루어질까? 하지만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적는다'가 아니라 바로 '생각'이다. 목표를 적으며 생각하면, 생각이 거듭하여 발전한다. 생각이 생각을 낳고, 그 생각이 길어지면 자연스럽게 행동을 이끌고, 그 행동이 성과를 이루는 것이다. 즉 '8-56-33 프로젝트'는 생각의 끈, 실행의 끈, 성과의 끈을 만들 수 있는 프로젝트이다. (p183)


인생=평생 경작해야 할 밭

이 책을 읽으며 나도 아직 늦지 않았다는 생각이 들었다. 30세 조금 넘은 나이에 계속 막막하다는 생각만 하며 다음 업을 고민하고 있었다. 하지만 나는 이제 갓 학업 시기를 지나고, 의업 시기에 들어온 나이일 뿐이다. 나의 꿈이 그냥 회사원이 아니듯, 일의 의미를 깨닫는 것이 우선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을 통해 사실 내가 얻고자 하는 것을 명쾌하게 갖지는 못했다. 하지만 현재의 시간 속에서 관점을 확장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비록 지금 내가 경작하고 있는 밭에 열매를 딸 수는 없었지만, 다양한 방향, 다양한 경험을 통해 새로운 미래를 꿈꾸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