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명인간
성석제 지음 / 창비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야기꾼 성석제 님은 평범한 것에서 유머를 끌어내는 이야기 방식으로 유명하다. 하지만 이번 <투명인간>이라는 책은 조금 무거웠다. 아마도 집필 당시의 세월호 사건때문이 아닐까 싶다. 하지만 이야기꾼이라는 그의 명성답게 이번 책 또한 디테일한 묘사와 끊기지 않는 흐름을 통해 이 책에 빠질 수 있었다.

 

<투명인간> 소설은 일제강점기부터 지금 현대까지 성실하게 살아온 김만수씨의 이야기이다. 현대사 교과서를 보면 드문드문 사건 위주의 정치, 경제를 중심으로 이야기 하지만, 투명인간은 대한민국에서 가장 평범하게 사는 사람의 이야기에 정치사가 덧붙어있다.

나라에 어떤 일이 펼쳐지든지 내 자리에서 열심히 하면, 내 주위에 피해만 없으면 괜찮은 것 아니냐는 대목이 있었다. 하지만 그 피해는 끓이는 물에 서서히 죽어가는 개구리처럼, 그를 조금씩 몰아가고 있었다. 나라가 한 가정에 삶에 얼마나 악영향을 주었는지, 그래서 현대에 어떻게 되어가고 있는지를 만수씨의 가정을 통해 우리의 가정을 볼 수 있는 계기가 된다.

 

베트남 파병에서 죽어서 돌아온 형 때문에 둘째인 만수가 한 가정에 가장이 되었다. 그래서 그는 부모님을 모셔야 했고, 동생들을 책임져야 했다. 그 자신보다는 가족을 위해 열심히 일하고, 동생들을 공부와 결혼까지 시킨다. 하지만 노년이 되니 그의 동생들은 그를 나 몰라라 한다. 아마도 베이비부머의 대표적인 상, 50대 아버지들의 대표상이 만수인 것이다.

'투명인간'의 의미는 무엇일까?

존재감 없는 사람을 의미하는 것 같았다. 한강 다리에서 떨어져 죽어도 알 수 없는 사람. 그의 가족들을 위해 충성을 다했지만 정작 노년에는 관심밖에 된 만수처럼 말이다. 저자의 의도인지는 모르지만, 이 소설에는 그림이 전혀 없다. 책의 표지 또한 얼굴은 보이지 않은 채, 그의 뒷모습만을 보여준다. , 다중화자들의 이야기를 통해 만수라는 인물이 드러난다. 그의 실상을 직접적으로 그린 것이 아니라 주변 사람들의 입으로 그를 그려 마치 주변 사람들을 검정색으로 칠해, 색깔 없는 부분이 김만수의 영역인 것처럼 말이다. 투명인간을 표현하기 위한 작가의 의도들이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했다.

투명인간의 또 다른 의미는 거울이다. 투명해서 내 자신, 내 가족의 모습을 투영시켜, 바라볼 수 있는 모습이다. 역사 또한 거울처럼 되풀이 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 같아 씁쓸했다.

 

<투명인간>을 읽고 나면 사실 마음이 무겁다. 작가도 이 세상이 너무 힘들었는지 소설의 마무리를 제대로 못 지었다고 어느 인터뷰에서 말했다. 정말 나라라는 울타리가 튼튼한지, 나를 지켜줄 수 있는지 생각하게 만든다. 그리고 아버지를 생각하며 가족에서 존재감 없는 나의 아버지를 사랑하게 만드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