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의 쓸모 - 자유롭고 떳떳한 삶을 위한 22가지 통찰
최태성 지음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최태성 선생님을 처음 만난 것은 공무원 한국사 공부를 한 때였다. 비록 공무원이 되지는 못했지만, 큰별쌤 최태성 선생님을 만나서 공부도 재미있게 할 수 있었고, 나의 삶을 되돌아보고, 앞으로 나아가는 방향을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래서 이 책이 나오기 전부터 선생님의 책이 출판된다는 소식이 얼마나 기대했는지 모른다. 선생님의 강의를 들으면서 학창시절 끊임없이 외우기만을 반복하며 괴로워하던 국사와 근현대사 과목이 피부로 와닿기 시작했다. 역사는 단순히 암기과목이 아니라 그 시대 사람들을 눈여겨보고 왜 그렇게 살 수밖에 없었는지 이해하는 것이라는 말씀이 잊혀지지 않는다. 항상 공부를 제일 열심히 하는 국사의 첫 시간인 선사시대, 최태성 선생님을 만나기 전까지는 왜 선사시대를 배워야 하는지 이해를 할 수가 없었다. 하지만 사람을 만나는 것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다시 책을 들여다보니 동굴에 살며 하루하루 사냥과 채집으로 이동생활을 하는 구석기인들을 만날 수 있었고, 유물들을 볼 때에도 지금처럼 과학이 발전하지는 않았지만 시대의 지혜를 엿볼 수 있었다. 최태성 선생님의 <역사의 쓸모> 책은 앞만보고 달려가는 현대인들에게 왜 역사가 쓸데있는 것인지 알려주고 과거의 시간여행을 통해 인생을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를 함께 고민해보는 책이다.

"당신의 꿈은 무엇입니까?"

선생님의 강의를 듣다가 무언가에 맞은듯한 느낌이 든 적이 있었다. 국사에서 근현대사로 넘어가는 그 강의였다. <역사의 쓸모> 책에서도 그 내용이 있어 몇 년전 그 느낌을 다시 떠올릴 수 있었다.

 

'개항기에는 신분해방을, 일제강점기에는 조국 해방을,

현대에는 빈곤해방을 위해 노력했다고요.

다음 세대에 더 좋은 세상을 물려주겠다는 꿈을 꾸고

 시대의 과제를 해결했던 그들 덕분에

우리는 정말 많은 선물을 받았습니다. (p223)'


자신의 지위를 모두 버렸지만 삼일천하로 끝나버린 갑신정변의 이야기들은 10년 후 동학농민운동을 통해 끊임없이 신분해방을 외쳤다. 모든 사건들이 실패라고 생각될 수도 있지만 계란으로 바위를 쳐 바위에 자국을 내듯 우리는 꿈을 이룰 수 있었다. 일제강점기는 조국 해방을 위해 만세운동과 더불어 곳곳에서 광복을 꿈꾸며 끊임없이 노력했다. 내가 일제강점기에 살았다면 저렇게 할 수 있었을까라는 생각이 들정도로 싸우고 또 싸웠다. 가장 가까운 역사인 현대사에서는 짧은 역사이지만 많은 꿈들이 실현된 시기이다. 빈곤해방, 우리 손으로 직접 대통령을 뽑을 수 있는 민주주의의 실현. 짧지만 얼마나 많은 사람들의 피가 있었는지 역사를 암기가 아닌 희망의 메시지로 읽는다면 지금 내가 살고 있는 시간을 다음 세대가 어떻게 바라볼지 겁부터 났다. 나는 다음 세대에, 아니 내 딸에게 어떤 시대를 물려주어야 할까? 당신의 꿈, 이 시대의 희망은 무엇인가? 나보다 먼저 이 땅을 지나간 사람들의 작품에 나는 어떤 것을 더해야 할까? 나에게 하는 이런 질문들이 나의 인생을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 고민하게 했다.


'우리가 공부하는 건 역사지만 결국은 사람을, 인생을 공부하는 것.(p29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