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어디를 살까요 - 알면 돈 되는 신나는 부동산 잡학사전
김학렬.배용환.정지영 지음 / 다산북스 / 2018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 사는 집을 사기 위해 1년을 돌아다녔던 것 같다. 대출을 낀 상태에서 금전적으로 맞는 곳, 남편과 내가 직장에 다니기 편한 곳, 학교 가까운 곳, 유흥가가 아닌 곳 등등 조건을 만들어 여기 저기 보았다. 하루는 아이와 소풍가다가 이 동네 예쁘다며 소풍 가던 길을 멈추고 버스에서 내려 부동산으로 갔던 적도 있었다. 비록 그 곳과는 연이 닿지는 않았지만, "지금도 다음 이사는 어디로 갈까?" 라고 하면 그 곳 이야기가 나오곤 한다. 이집 저집 돌아다니며 발품을 팔아서 산 지금의 우리집. 다달이 은행 원금을 갚고 있어서 월세같다고 이야기 하지만 우리가 산 첫 집이다. 여기 저기 따지며 산 첫집이지만, 우리가 예상하지 못했던 문제점들도 보였고, 집의 가치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게 되었다. 그래서 남편과 함께 이 책을 읽어보게 되었다. <그래서 어디를 살까요>


#억소리나는 재미

<그래서 어디를 살까요>는 팟캐스트 100회 이상 진행한 '부동산 클라우드'의 엑기스를 모아 한권의 책으로 만든 것이다. 세 명의 MC의 이력을 보면 부동산의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였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부동산 조사연구소 소장, 입지의 고수 빠숑 김학렬, 부동산 투자 교육 서비스업자이자, 상가의 고수인 서울휘 배용환, 임장의 고수 아임해피 정지영이다. 

요즘은 정보도 돈인데, '부동산 클라우드' 팟캐스트는 무료로 진행하고 있다. 돈이 되는 정보를 무료로 방송하고, 무료로 칼럼을 배포한다. 그 이유를 물으니 그들은 이렇게 대답하였다고 한다. "재미있으니깐요!" 행복한 부동산 방송을 만들겠다는 기획의도로 다가가니 억소리나는 부동산 이야기도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었다.


#부동산=사람

부동산으로 돈벌었다고 이야기하면 로또에 당첨된 것처럼 본다. 큰 노력없이 돈 벌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부동산 공부를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에 눈이 트여야 한다. '교주일인자학' - 지역분석의 대가 닉네임 골목대장님의 기준이다. 교통환경, 주거환경, 일자리환경, 인프라환경, 자연환경, 학군환경 이 여섯가지만 잘 분석하면 미래가치를 선점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기준의 중심에는 '사람'이 있다. 단순히 돈을 벌기 위해 부동산에 뛰어드는 것은 금물이다. 돈이 중심이 되면 미래를 보는 눈이 흐려지기 때문이다. 사람들에 대한 공부를 해야 부동산의 진짜 가치를 바라볼 수 있다. 당대의 사람들이 어떤 마음을 품고 살아가는지, 어떤 삶의 방식을 누리는지, 세상이 어떻게 바뀌고 있는지를 모두 섭렵할 수 있어야 한다. 


#입지! 입지! 입지

'어디를 살까요?'라는 질문에는 명쾌한 답은 없다. 하지만 이왕 살거면 입지가 좋은 곳을 사야 한다고 이 책에서 강조한다. 입지가 좋은 곳은 물론 더 비싸겠지만, 튼튼한 회사의 주식처럼 크게 망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집을 보러 다니면, 사실 집의 외관상에 눈과 마음이 많이 간다. 더 중요한 것은 땅의 가치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그래서 어디를 살까요>에서도 처음부터 끝까지 입지의 중요성을 외치며, 특히 3장~5장은 서울과 신도시의 주요 지역과 특징, 투자 포인트를 잘 짚어주고 있다. 


#부동산은 자산을 담는 그릇

부동산을 처음 접하시는 분, 투자방법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계신 분이라면 이 책을 읽어보기를 권하고 싶다. 아기곰님의 이야기로 서평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아무리 정부에서 손을 쓴다고 하지만 잡히지 않는 부동산에는 이유가 있었다. 정상적인 국가라면 물가는 장기적으로 계속 오를 수밖에 없고, 화폐의 가치는 계속 떨어진다. 그러므로 화폐를 일정한 가치를 갖는 상품으로 바꾸어서 보유해야 하는 것이다. 부동산도 인플레이션 헤지로 바라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부동산은 자산을 담는 최고의 그릇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