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 시대정신이 되다 - 낯선 세계를 상상하고 현실의 답을 찾는 문학의 힘 서가명강 시리즈 27
이동신 지음 / 21세기북스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렸을 적 SF 영화나 애니메이션을 접할 때마다 몰입하며 즐겨보던 기억이 난다.

지금과는 달리 즐길 거리가 그다지 없던 시절이었기에 어쩌다 TV에서 하는 비현실적인 이야기가 내 마음을 사로잡기 충분했었다.

여느 집처럼 구비되어 있던 세계명작동화 전집에 고전 SF 소설이 몇 권씩 포함되어 있었기에 몇 번이고 상상의 나래를 펴며 흥미롭게 읽기도 했다.

그러다 점차 다른 쪽에도 흥미를 생겨 잠시 SF를 접하지 않던 사이에도 주목받는 SF들이 있었지만 왠지 메인이 아닌 변방의 마니아 문화로 굳어지는 듯 느껴졌다.

최근 들어 국내에서 SF의 인기가 늘었는지 국내 작품과 작가들이 많이 언급되는 것에 살짝 놀랍기도 하며 sf 장르의 현재가 궁금하던 차에 이 책을 접하게 되었다.

SF는 익숙한 현실과는 다른 새로운 세상을 표현한다.

보면 이해할 수는 있으나 낯선 이 개념들을 '노붐'과 '인지적 낯섦'으로 표현한다.

이러한 핵심요소를 통해 과학기술을 다룬 장르가 SF이다.

때문에 SF는 현실의 거울 역할도 하면서 미래로의 방향을 제시하며 철학적인 고민을 이끌어낸다.

이 과정에서 과학기술을 다룬 현실도피성으로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정형적인 플롯을 지닌 장르에서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이슈를 다루는데 집중하며 문학성은 높아졌지만 대중성에 멀어지는 상황이 되었다.

결국 현실도피성 재미가 풍부한 판타지에 대중의 관심이 옮겨가는 형국이 되었다.

SF도 결국 대중의 관심을 받아야만 창작이 활발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현실도피를 결코 소홀히 하면 안 되는 것이다.

예전에 공상과학물이라 칭하며 유치하다고 치부되던 시선을 가지던 시대를 겪어온 사람으로서 현재의 SF가 어느 장르 이상으로 철학적으로 이슈를 다루는 부분에 큰 감명을 받고 있었기 때문에 이 현상이 놀랍기도 하고 수긍이 가기도 했다.

어렴풋이나마 느끼고 있던 느껴지는 부분이기도 했다.

비교적 역사가 짧은 편인 SF는 일반 문학작품에 비해 대중 친밀성이 높은 장르로 본래의 특징이었던 현실도피를 강조한 스페이스오페라나 사이버스페이스와 같은 소재의 작품이 등장했다.

내용적으로는 현재의 어떤 문제나 상황을 논리적으로 확장시키는 '외샵'이라는 방식으로 사회적 비평 장르로 자리 잡았다.

그리고 인식의 한계를 넘어서 탐구적인 시각을 담은 사변적인 작품이 많이 등장해야 한다고 한다.

sf가 주목받는 시대, 그리고 시대정신을 대표하는 장르로서 역할이 기대된다.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