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은 왜 죽는가
고바야시 다케히코 지음, 김진아 옮김 / 허클베리북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에게나 죽음이란 당연한 것이라는 생각은 있지만 막상 '나'와는 거리가 먼 일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하지만 늘 주변에 어떤 형태로든 죽음을 접하며 살고 있다.

내가 수많은 죽음 후에 태어났고, 나의 죽음 후에도 이 세상은 계속 존재한다는 생각을 하면 두렵기도 하고 아득하기도 하다.

마냥 추상적이고 철학적으로 '죽음'을 종말적으로 바라보면 선뜻 받아들이기 힘든 일이기도 하다.

일본의 생물학자 고바야시 다케히코 교수가 집필한 [ 생물은 왜 죽는가 ]는 '우리가 왜 죽어야 하는가?'라는 의문에 대해 비교적 쉽게 생물학적으로 답해주는 책이다.

생명의 탄생

죽은 것은 살아있는 것의 영양분이 되는 '선순환'에 의해 생물이 탄생했고 저자는 이를 '턴 오버'라 칭한다.

세포로 진화하기 전의 상태 일 때부터 다양한 분자로 결합과 분해를 반복하는 '리사이클'로 이미 탄생과 죽음의 형태를 갖췄다는 것이다.

즉 생물은 다음 세대를 위해 죽어야 하는 나름의 현명한 선택을 통해 진화해온 것이다.

죽음이란.

다양한 생물이 지구상에 존재해왔고 진화하며 멸종해왔다.

선순환의 측면으로 다양성에 기인한 진화에 의해 생물은 각각의 환경에 따라 독자적으로 적응하며 존재하고 있다.

인간은 생물학적으로 이를 연구하고 수명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해오고 있다.

그러나 언젠가는 죽음을 맞이하여야 하기에 죽음의 의미를 잘 이해하고 받아들이기 위한 고민이 필요함을 책을 읽으며 느꼈다.

AI

책의 말미에는 의외로 AI에 관한 내용이었다.

요즘 많이 부각되는 주제이기는 하지만 죽음에 대한 생물학적인 견해를 담은 책의 마지막 부분을 AI에 대해 다룬 것을 보면

생물학자에게도 AI가 인간에 대해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보는듯했다.

삶은 한정적이기 때문에 더 가치가 큰 것이다.

죽음이 허망한 것이 아닌 진화로 이룩한 가치 있는 결말이라는 책의 내용이 아니더라도

살아있는 동안 후회 없이 나 자신을 가치있게 빛낼 수 있게 허투루 살지 않도록 다짐해 본다.

※출판사로부터 제공 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