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년을 건너온 약속 오늘의 청소년 문학 39
이진미 지음 / 다른 / 202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간토 대지진 학살 100주년

누군가는 꼭 기억하고 밝혀내야 할 이야기

조선인들이 우물에 독을 탔다.

조선인을 잡아 죽여라!




올해는 1923년 9월 1일 일본 간토 대지진이 일어난지 100년이 되는 해이다. 또 일본의 자경단원, 경찰, 군인 등이 조선인을 집단 학살한 지 100년이 되는 해라는 말이 더 맞을 것이다. 영화나 책에서도 가끔 언급 되는 간토 대지진의 학살의 현장은 일본인들이 대지진이 일어나자 '조선인들이 자연재해라는 혼란을 틈타 폭동을 일으키고 우물에 독을 풀었다'는 유언비어가 급속하게 퍼지면서 시작되었다. 이 과정에서 끔찍한 학살이 당연하다는 듯이 자행되었고 조선인이라는 말만 들려도 자경단들은 눈에 불을 켜고 살인을 저질렀다.


이 책을 쓴 이진미 선생님은 중,고등학교에서 국어를 가르치며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글을 쓰고 선생님의 글을 통해 사람과 사람을 서로 이어주기를 , 독자와 세상을 서로 이어주기를 소망하는 마음으로 글을 쓰신다고 한다.



다른 출판사에서 출간되는 청소년 역사소설의 이번 책은 이 간토 대지진을 소재로 한 <백년을 건너온 약속> 이다. 백년전의 끔찍한 사건을 잊지 않기 위해 출간된 듯한 이 책은 100년이라는 시간을 건너 역사의 현장속으로 들어간 주인공 린과 1923년의 조선인 청년의 이야기가 한 챕터별로 번갈아 서술된다. ​​

오래전 물길을 내어 아라카와 방수로를 만들던 사람들이

어느 날 갑자기 한꺼번에 사라져 버렸다는 이야기였지 .

그 사람들은 누구고 어디로 가 버린 걸까?

이 글은 바로 그 사라진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란다.

P.8


# 마에다 린,2023년



린은 갑작스러운 할머니의 죽음으로 혼란스러운 하루를 맞는다. 그리고 할머니가 남긴 편지와 일기장에는 이해할수 없는 글들이 적혀있다. 칠흑 같은 어둠 속에서 뽀족하고 날카로운 빛이 찌를 듯 달려드는 바람에 식은땀을 흘리며 잠에서 깨어나는 린은 할머니의 부고를 들은뒤 똑같은 악몽에 시달린다. 할머니가 남긴 편지에 적힌 운명을 받아들이는 선택이라는게 뭘까? 큰 짐을 주고 떠난다는건 또 무슨뜻일까?



돌아가신 할머니의 유품을 정리하던 린은 불단에서 황금빛이 번쩍거리고 오래되어 보이는 만년필촉을 만지게 된다. 순간 황금빛의 회오리 바람에 휩쓸려 린과 하루는 불단속으로 빨려 들어가고 그대로 정신을 잃는다. 매캐한 연기에 주변을 둘러보니 땅은 갈라져 있고 시뻘건 불길이 사방에 널려있다. 하지만 같은 일본이지만 주위의 사람들은 전통의상을 입고 있고 "조선인을 잡아 죽여라 "라는 말과 함께 죽창과 칼을 든 사람들이 보인다.


#양정필,1923년



자식들에게 치욕스러운 노예의 삶을 물려줄수 없다며 아버지는 대한 독립 만세를 부르며 총과 몽둥이에 맞아 돌아가시고 엄마마저 동생 정훈이를 정필에게 맡기고 눈을 감는다.

" 그래 적에게 배워 힘을 기르자 . 그리고 그 힘으로 적을 무찌르자."

정필은 동생 정훈을 데리고 현해탄을 건너 일본으로 건너 가 아라카와 방수로 공사장에서 힘겹게 일을 한다. 쥐꼬리만한 급료와 다쳐도 보상은 커녕 내쳐지는 조선인의 신세는 그야말로 비참하다.

"다이신사이 ( 대지진이다)"

누군가의 외침으로 공사장과 시가지의 모습은 시뻘건 불길과 사람들의 신음으로 마치 지옥도를 연상케한다.

100년을 거슬러 만나게 되는 정필과 린은 어떤 인연일까? 우리가 알고있는 대부분의 간토 대지진에 대한 이야기는 우리의 시선으로 바라본 모습에 대한 묘사가 많다. <백년을 건너온 약속>은 일본인 학생 린이 바라보는 그 시대의 조선인들의 처참한 모습과 더불어 가족에 얽힌 미스테리한 이야기가 함께 어우러져 거침없이 진행된다.





작가님이 이 이야기를 소설로 쓰기로 결심하고 도쿄를 답사한 이야기가 책 뒷편 작가의 말에 담겨있다. 작가님이 가장 닿고 싶었던 부분은 그처럼 잔인한 일을 당하고도 일본 땅을 떠나지 못하고 머물러 살 수밖에 없었던 사람들의 마음과 하찮은 취급을 당하고도 과연 그들은 어떤 마음으로 하루하루를 살아냈을까 하는 마음이었다고 한다.



글을 읽으면서 속에서 계속 화가 나서 중간중간 책을 몇번 덮었다. 끓어오르는 화와 글로 묘사된 잔인한 표현들이 너무 마음이 아프고 슬픈 과거에 부들부들 떨렸다. 과연 우리 아이들은 이책을 읽으며 어떤 마음이 들까하는 생각도 들었다. 100년이 넘은 지금도 무고한 조선인들의 억울한 죽음에 대해 누구하나 책임을 지지 않고 제대로 된 사과와 반성조차 없다고 한다. 역사는 지울수 없다. 인정하지 않더라도 누군가는 잘못에 대한 반성을 하고 뉘우쳐야 한다. 100년 전의 학살사건에 대해 과거로 치부한다면 우리의 역사는 다시 반복될수 있다. 소설일 뿐이라는 생각보다는 100년이 지나도 그 울분이 다 해결되지 못한 현실에 안타까운 마음이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