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마음 탐구 생활 마음 학교 3
꼬마곰 지음 / oldstairs(올드스테어즈)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린이를 위한 정통 심리학 교재
내 마음 탐구생활
마음이 왜 이럴까?


<내마음 탐구생활>는 올드스테어즈에서 출간된 마음학교 시리즈로 세번째 책이다. 1권과 2권이 친구에 대해 알아 보았다면 이번 3권은 나의 마음을 들여다 보는 책이다. 이 책은 나와 타인의 감정과 생각을 다루는 일에 서툰 어린이들을 위한 심리상담서이다. 자기의 마음을 스스로도 잘 모르는 우리 10대들에게 정말 유익한 책인듯 하다. 심리상담은 정신과에서나 할 법 한데 책을 통해 ‘나‘를 알아가는 과정을 책 속의 친구들의 이야기를 통해 들려준다.


1.사람들은 왜 나쁜행동을 하는 걸까?

2.친구를 사귀는 게 너무 어려워!

3.현실도 게임처럼 다시 시작하고 싶어!

4.뉴스를 믿어서는 안 된다고?

5.나는 왜 칭찬이 부담스러울까?

6.슬프고 힘들때는 어떻게 하지?

책의 구성은 총 6챕터로 구성되어 6명의 아이들이 친구인 김심리를 통해 고민을 하나씩 해결해 가는 과정이다. ‘김심리상담소‘의 여러 코너에서는 개념과 효과 그리고 그것들이 미치는 영향뿐 아니라 아이들 스스로 해결 할수 있는 방법등을 재미있는 삽화를 통해 설명하고 있다. 언뜻 어려운 용어로 비치지만 그림과 설명된 김심리의 설명은 이해하기 쉽고 실제의 예를 들어 집단에 속한 개인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알려준다.
가장 눈길을 끌었던 부분은 <현실도 게임처럼 하고 싶어>의 노리의 이야기였다. 친구들과 점심시간에 자동차 경주게임을 하는 노리는 게임을 하는 도중 마음대로 되지 않자 종료버튼을 누르고 만다.​

게임 속 세상이 진짜가 됐으면 좋겠어..

그럼 실패하거나 어려운 일이 생길때마다

게임처럼 다시 시작할수 있을 테니까

P.81

<김심리의 심리상담소>

게임중독과 리셋증후군이 뭐냐고?

컴퓨터가 오작동할 때 리셋버튼을누르는 것처럼

현실에서도 문제가 발생했을 때

다시 시작할수 있을 것이라고 착각하는 증상을 말해

P.83

요즘 우리 아이들의 하루 게임시간을 어떤가? 적게는 30분부터 노리처럼 수시간이 되는 아이들도 있다. 리셋증후군은 주로 인터넷 중독이나 게임 중독에 걸린 사람에게서 자주 발견되는 현상이다. 지금처럼 누구나 손에 컴퓨터와 다름없는 핸드폰을 들고 다니면서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터치만 하면 모든 것이 해결되는 세상을 사는 우리다. 일상생활을 편리 하게 만들어 주고 편리함과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장점도 많지만 욕설, 폭력 , 음란물에 의한 범죄와 중독의 증상을 만들어내는 것 또한 인터넷 세상이다.
스마트폰에 익숙한 MZ세대는 리셋증후군을 겪을 가능성이 높고 속도가 느리거나 멈출때 창을 닫아버리는 것도 리셋증후군에 속한다. 또한 최근 신종어인 ‘팝콘 브레인‘은 팝콘처럼 크고 강렬한 자극에 익숙해 현실에 무감각해지는 것을 말하고 노리가 휴대폰 게임에 빠진것도 이것 때문이다. 팝콘브레인 현상을 보이는 뇌를 촬영해보면 실제로 ‘생각‘을 담당하는 부위가 줄어 들어 있다고 한다. 이런 리셋증후군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바로 인터넷과 게임시간을 줄이고 건강한 취미생활을 즐기는 것이다. 또 규칙적인 생활습관을 갖고 새벽 늦게 자거나 밥을 거르지 않도록 생활 습관을 유지해야 한다.
‘열길 물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는 속담처럼 성인도 자신의 마음을 알아차리지 못해 상담을 하는 경우가 종종 있고 우울증 및 정신 질환에 힘들어하기도 한다. 하물며 우리 아이들은 스스로의 마음에 대해 얼마나 잘 알고 있을까? < 내 마음 탐구생활>의 작가의 말처럼 몸이 자란다고 해서 마음도 함께 자라는 것은 아니다. 어른도 마음속에 치유되지 않은 어린 자아로 인해 힘들어하고 현실 속에서는 진정한 어른으로 성장하지 못하기도 한다. 이 책은 우리 아이들이 마음속의 고민과 그 문제로 인해 발생되는 여러가지 증상과 행동들을 알아보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현명한 책임이 분명하다. 또한 스스로의 마음을 탐구함으로써 그 속에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는 시간을 가질수 있다. 아이들이 일상생활에서 겪는 다양한 고민을 해결하고 나면 나 자신과 마주할 수 있는 용기를 갖게 될 것이다. 우리의 아이들이 건강한 정신과 상대방에 대한 너그러운 이해심을 키워 진정한 자아와 대면하고 건강한 어른으로 자라기를 기대 해 본다.







[마더스카페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