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대박! 말하는 목줄 저학년 씨알문고 5
박현숙 지음, 박규빈 그림 / 북멘토(도서출판)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상한 시리즈로 유명한 박현숙 작가의 오!대박 시리즈 입니다.

수상한 시리즈가 초등 중학년 이상의 수준의 책이라면 이번 오대박시리즈는 저학년을 위한 책으로 재미있지만 따뜻한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책의 특징중 하나는 책의 페이지 마다 삽화가 그려져 있어서 한번을 글을 읽고 또 한번은 삽화를 보는 즐거움을 느낄수 있습니다.

춤추는 변기를 발명한 오대박! 이번에는 말하는 목줄을 어떤 사연으로 만들게 되는지 표지만 봐도 벌써 코믹합니다.

이번에 발명한 말하는 목줄은 어떤것 일까요?



나는 똥 싼 아이가 아니예요

사건은 성민이 아빠의 닭집앞에 누군가 싸놓은 엄청난 똥에서 부터 시작됩니다. 닭집주인인 성민이의 아빠는 뽑히지도 않는 코털을 뽑아가며 눈이 평펑 쏟아지는 밤에 흰색점퍼를 입은 아이가 쪼그리고 앉아서 똥을 누는걸 봤다는 사람이 있다고 증인까지 들먹입니다. 억울하게 누명을 쓰게 된 사람은 성민이의 친구인 다름아닌 오대박입니다. . 단지 흰옷을 입었다는 이유만으로 누명을 쓴 오대박은 친구들인 성민과 소라와 함께 범인을 찾게 됩니다.


"사람똥일까, 개똥일까?

누구의 똥인 찾기위해 오대박과 친구들은 선물대신 '닭똥집'을 준다는 광고지를 전봇대에 붙여가며 억울한 누명을 벗기위해 노력합니다. 경찰서로 가져가는 친구, 과학자가 되어서 똥의 정체를 밝히는 신통방통 돋보기를 만들겠다는 친구들은 쪼그리고 앉아서 분석합니다. 아이들의 시선에서 범인을 찾기 위한 노력이 너무 귀엽습니다.


소라와 오대박 성민은 철물점의 이백구를 보러 철물점에 갑니다. 못푸는 목줄이 없는 백구는 사람처럼 문도 열고 들어옵니다. 철물점 아저씨는 백구를 데려다 키운 분인데 6개월까지는 종일 꼼짝 않고 얌전한 강아지 였다고 합니다.

철물점 아저씨의 친구강아지인 황구를 만난뒤로 백구는 확 달라졌다고 하면서 황구를 원망합니다. 그사이 나간 백구는 또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아이들은 백구의 똥을 찾아 여기저기 헤메다 드디어 백구의 똥을 찾게됩니다.

" 닭집 앞에 있는 똥하고 똑같아"

백구의 똥인걸 알게된 성민아빠는 의심해서 미안하다고 오대박에게 사과합니다.

똥을 치운 철물점 아저씨는 백구를 가게에 가두어 두고 백구가 우는소리가 밖에까지 들리지만 들은 척도 하지 않게 됩니다.

불쌍해도 어쩔수 없지. 여기저기 똥을 누고 다니는데 어쩌겠니 몰줄을 풀지 않으면 좋을텐더 말이야 ,가게에 있으면 유리창으로 밖도 볼수 있고, 방보다 넓으니까 덜 답답할텐데, 백구를 데리고 온게 후회가 된단다. 그냥 황구랑 같이 살게 했으면 훨씬 더 좋았을 텐데. 형제랑 같이 살면 심심하지도 않을테고 말이야.

p.70

오대박은 아저씨의 마음은 이해가 되지만 백구가 목줄을 풀지 않을 방법을 생각하는 오대박은 황구 아저씨처럼 하루에 두시간씩 이백구를 바깥 구경을 시켜주면 어떤지 묻지만 아저씨는 바쁘는 말만합니다.


 

말하는 목줄

성민이와 오대박은 튼튼한 목줄을 만들자고 하고 소라와 함께 절대 풀수 없는 목줄을 만들기로 합니다.

과연 오대박과 친구들은 어떻게 풀 수 없는 말하는 목줄을 만들게 될까요?

오대박이 만든 목줄은 어떻게 말을 하는 걸까요? 아이들의 시선으로 동물의 마음을 헤아리는 부분은 어른이 제가 봐도 눈물겹습니다.

삼총사가 나서면서 똥사건이 잘 해결되고 철물점 아저씨도 반성을 하면서 백구를 위한 장난감을 만들어주게 됩니다.

요즘은 한 집 걸러 한 집씩 반려동물을 키우며 가족의 일원으로 살아가고 있습니다. 가족처럼 생각하는 반려동물을 내가 조금 힘들어지거나 병들게 되면 누군가는 공원이나 한적한 곳에 버리게 되는 일을 종종 볼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작고 귀여워서 갖고 싶은 욕심에 소유하게 되지만 생명체에 대한 책임감을 갖고 보살펴야 됩니다. 이책을 읽는 어린이들의 대부분은 애완동물에 대한 로망을 갖고 있을 것입니다. 저의 아이 또한 그렇거든요. 하지만 이책을 통해 아이들은 소유에 대한 책임감을 배우게 될 것입니다. 내가 필요한 것 말고 애완동물에게 필요한 환경이 무엇이고 무엇을 해줘야 하는지 알아야 합니다.

또한 학교생활이나 친구들 사이에서 오대박처럼 억울한 일을 당했다고 화만 내고 포기하는 대신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문제 해결을 위해 애쓰고 본인의 억울함을 위한 노력한다면 좀더 좋은 결과를 만들어 낼것입니다. .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