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에 대한 과학의 우위. 이 고전주의적 천칭이 점점 반대편으로 기울더니 최근엔 역관계가 완전히 전도된 듯하다.
요즘은 예술이 정신을 지도하는 듯하다. 하긴 포스트모던은 학과 예술, 윤리학과 미학 사이의 경계를 허무는 경향이 있다.
최근에 우리 지식인들 사이에서 부쩍 예술가가 늘어난 것은 이때문이다. 좋은 일이다. 한 가지만 지적하자.
합리적 논증을 할 자리에서 예술가가 되어 마구 상상력을 펼치는 이론가들. 이들은 포스트모던을 잘못 이해한 것이다.
포스트모던은 존재미학이다. 근대적인 인식론적 미학이 아니다.
이 시대에 부활시켜야 할 감각과 상상력이란 얄팍한 딜레탕트 취향이 아니다. 포스트모던의 감성과 상상력은 무엇보다도
시대의 고통을 예민하게 찾아내는 창조적 상상력이어야 한다. 예술? 아, 그것은 잿빛 이론에 싫증난 게으른 지식인들의 해방구가 아니다.
부르주아적 삶을 치장하는 한 조각의 시도 아니고, 향유라는 이름의 소비의 대상도 아니다. 예술은 우리의 삶 자체를 예술적으로
조직하도록 이끌어주는 영감의 원천이어야 한다. 미메시스. 예술작품과의 존재론적 닮기. 이것이 포스트모던의 정신이다.

진중권, 앙겔루스노부스, pp.188~189




예술은 누추한 존재를 고상하게 치자하는 장식품으로 전락해서는 안 된다. 작품에 관한 딜레탕트적 담론의 놀이로 자신을
다른 그룹의 인간들과 구별하고자 하는 자들이 벌이는 하릴없는 사회적 상징작용의 기호로 소모되어서는 안 된다.
그것은 무엇보다도 인간이 자신의 존재를 아름답게 형상화하는 데에 필요한 창조적 영감을 주는 존재가 되어야 한다.
인간은 예술을 닮아야 한다. 예술은 인간이 자기를 닮기를 원한다. 예술은 한갓 인식의 대상이 아니다. 그것은 우리와 존재론적
닮기를 하는 대화의 상대가 되어야 한다. 근대의 인식론적 미학은 이제 서서히 탈근대의 존재미학으로 바뀌어야 한다.

pp.259~260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