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내가 먼저입니다 - 관계의 안전거리에서 자기중심을 찾는 바운더리 심리학
네드라 글로버 타와브 지음, 신혜연 옮김 / 매일경제신문사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정여울작가의 극찬이라는 문구를 보고 선택한 책

처음 접해보는 관계관련 책이라 호기심에 읽어보게됐다.

나는내가 먼저입니다? 말은 쉽지만 사회생활을 하는 우리로서는 타인을 스스로를 우선으로 두면서도 타인을 배려하며 살아가야 하는데 적절한 바운더리를 어떻게 만들고 살아가야 하는지에 대해서 다루고 있는 책이다.

허술한 바운더리를 가지고 있는지 판단할수 있다.

나는 허술한 바운더리도 있었고, 경직된 바운더리도 건강한 바운더리도 두루두루 있었다.

평소에 이렇게 말해야 할까?저렇게 말해야 할까? 생각하곤 했던 상황이 있었는데

이 책을 읽으며 건강한 바운더리를 갖고 말하는것의 유형에 대해서 알게됐다.

책의 예시가 꼭 옳은 건 아니지만 참고해볼 만 했다

하지만 이책에서는 그런경우는 건강하지 못한관계라고 한다.

본인이 무엇을 원하는지를 말하지 않아도 알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금물!

언제나 말해야 본인의 마음을 알아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바운더리를 말로 전달 해야지 상대방도 조심하고 바운더리를 지켜줄 수 있을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됐다.

바운더리 평소에 생각도 하지않고 살아왔는데

관계를 맺는 것에 있어서 중요한 것임을 깨닫게 됐다.

그리고 이책을 읽고 말하지 않으면 아무도 모른다. 이말이 가장 와닿았다.

기존에 알고 지낸 관계든 새로알아가는 관계든 자신이 원하는 바를 분명하게 말하고 자신이 기대하는 바 요구사항을 말하는 것이 건강한 바운더리를 지키며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임을 알게됐다.

이책은 챕터별로 오늘의 질문 코너가 있어서 좋았다. 덕분에 평소에 어떻게 말했는지 생각해볼수 있었고 왜냐하면이라는 단어가 변명하는 말처럼 들려서 안좋게 생각했는데

그말이 관계에 있어서 타당성이 있음을 새롭게 알게됐다.

타인 뿐만 아니라 가족관계에서도 서로의 바운더리를 존중해야 함의 이유를 알수 있는 책이다.

또한 흥미로운 챕터였던 건강한 우정이라는 증거에 대해서도 나왔는데 서로가 서로에게 득이되고 당신의 모습 그대로를 좋아하고 감정을 솔직하게 털어놓을수 있다는 점이다.

건강한 우정이 아니라는 증거는 공통점이 하나도 없고 경쟁적인관계이고 친구가 다른 사람들 앞에서 당신을 당황스럽게 하고 감정적으로 진이 빠지는 기분이다.

나는 내가 먼저입니다 라는 책 제목처럼 건강한 바운더리로 스스로를 어떻게 지켜야 하는지를 잘 알려주는 책이다. 직장에서 업무가 많은데 본인보고 다하라고 하는 상사

이럴땐 스스로를 어떻게 지켜야 할까?

이이상의 업무는 맡기 어려울것 같습니다, 업무를 도와줄 사람이 더 필요합니다

퇴근후에는 도와드릴수가 없어요 가족들과 시간을 보내고 싶거든요 등..

이말을 보면서 현실에서 과연 사용할 수 있는 말인가? 싶다가도 그렇게 해야 본인을 지킬수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도 들었다.

'제가 바쁘다는 것 알면서도 할일을 또 주시네요 xxxx"

=> 저는 마감시한이 있을때 일이 잘되더라구요 급히 처리해야 할 일이 있다면 먼저 알려주세요

이처럼 말하면 다른이들을 화나게 할수도 있다. 그런 경우 위축하지 말고 스스로를 응원하며 다짐해보자. 관계의 안전거리에서 자기중심을 찾는 바운더리 심리학은 타인의 말에 잘 휩쓸려가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책인듯 하다.

앞쪽에 있는 바운더리 테스트를 통해 어떤 바운더리를 가지고있는지 체크해보고 읽어보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