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기교육 - 아이의 발달 속도에 맞는 최고의 양육법
이기숙 지음 / 인디고(글담) / 2015년 9월
평점 :
품절


올해 뇌발달에 따른 적기교육이라는 강의를 듣고 온적이 있다. 그 내용과 거의 일치하는 책이라 눈에 더 들어온 책이다.

통계적인 수치로 혹은 의학적인 수치로 적기교육이 미치는 악영향과 그 해법?에 대해 잘 설명해준 책!

 

나를 비롯한 부모라면 한번정도는 읽어보면 좋을거 같다.

선행을 한 아이와 선행을 하지 않은 아이의 학교때의 성적을 비교해보면 오히려 선행을 하지 않은 아이가 더 좋다는 놀라는 사실과 태교때부터 너무 과도한 선행을 한 아이는 적절한 뇌발달이 이루어지지 않고 한쪽으로 치우진 뇌발달이 이루어진다는 글에

다소 놀라움과 걱정이 앞서게 되었다.

 

그로 인해 많은 아이들이 정신적으로 아프고 있는건 아닌지......

 

 

어느 부모이든 우리아이가 남들보다 뛰어나길 바란다.

그리고 다방면에서 조금은 우월하기를 바란다.

 

허나. 위 서론에 있는 위 글귀에 난 뜨끔하지 않을 수 없었다.

" 아이가 자기 자신에 대해 어떻게 느끼고 있다고 생각하세요? "

" 다른 사람이 자녀에 대해 어떻게 평가한다고 생각하세요? "

 

" 두 질문 중 어느 질문에 더 신경이 쓰이세요?"

책에도 나와 있듯이 나역시 두번째 질문에 더 신경이 쓰였다는걸 인정할 수 밖에 없다.

남들의 시선으로 인해 우리 아이들을 맞추려고 한적은 없는지.

조금은 아이들에게 미안하다. 

 

한국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는 최상위라고 한다.

하지만 행복지수와 공부에 대한 의욕도는 성취도에 비해 하위수준!~

무엇이 문제일까?

너무 일찍부터 공부라는 테두리와 억압속에서 자라왔다는 결론

유치원 시기에 충분히 뛰어놀고 놀아야만 할 시기에 공부라는 테두리에 묶여서 자랐기 때문이라 한다.

어렸을때 충분히 놀고 바깥활동을 함으로써 충전되어야 광합성할 에너지가 없기때문에 우리 아이들은 일찌감치

풀이 죽어 있다한다.  

 

 

요즘 아이들중에 사회성이 부족한 아이들이 많다.

또래와 어울릴 기회, 부모님과 대화할 기회, 바깥에서 부딪치며 놀며 생기는 문제를 해결할 기회가 부족해서 일거다.

공부의 근육보다 마음의 근육을 먼저 키우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나역시 공부보다는 마음이 더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아마 어느 부모나 같은 생각일 것이다. 

 

 

유아기는 학업으로 인한 성취보다는 자신이 잘하는거 좋아하는거 혹은 놀이활동, 교구활동으로

몰입하게 하고 그 몰입하는 경험은 유아들의 산만함을 없애고 집중력을 높여준다 한다.
산만한 우리 아이에게 제격이라는 생각이다. 

 

 

이 책을 조금더 일찍 만났더라면 더 좋았을걸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나에게는 그만큼 많은 도움을 주었고 앞으로 양육하고 교육하는데 있어서 흔들리지 않게 하는 믿음을 준 책이다. 

 

해당 서평은 출판사 에서 제공받은 도서를 읽고 작성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