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도둑 - 한 공부꾼의 자기 이야기
장회익 지음 / 생각의나무 / 200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처음 공부도둑이란 제목에서 저자의 약간은 지식에 대한 거만함을 묻었다면 이책을 읽기전에 나는 오해를 했던게 확실하다.

공부도둑이란 저자의 지극히 겸손한 표현이었는데 말이다. 장회익님은 정말 공부꾼으로 한평생 앎을즐거움을 만끽하며 살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이런 공부꾼이 처음부터.. 공부꾼으로써의 그 환경이 주어진 것은 아니었는데 말이다.

장회익님의 자서전인 공부도둑은 그야말로 장회익님의 5대조 할아버지..그 가문의 이야기 부터 시작해 .. 자신의 공부에 가장 큰 태클을 걸었던 할아버지 그리고 자신이 그렇게 공부에 흥미를 가질수 있게 해준 아버지의 이야기로 시작된다. 책을 지루하지 않게 이야기 방식으로 전개 되고 .. 상할아버지와의 짧은 대화가 간간히 웃음을 머김게 하기도 했다.

 

공부를 만류했던 할아버지가  지금 돌이켜 보면 자신의 야생공부기술을 가르친 장본인?

그렇다 할아버지는 증조할아버지의 끊임없는 교육열정에도  공부에 대한 흥미가 없으셨다. 아주 오랜시간이 흘러 알게되었지만 할아버지에게는 공부라는것이 하나의 꾸밈이었는지도 모른다고 저자는 이야기 한다. 하지만 할아버지는 그 꾸밈없이도 세상을잘 살아내셨기에 .. 하지만 끝내 할아버지도 인정하는 " 너는 농사일은 그만해라 그건 네일이 아니다." 공부꾼으로써의 장회익님의 삶은

정말 공부꾼으로써의 톡톡히 그 자질을 보여준다.

 

장회익님의 어린 시절 회상부터  고등학교 대학교 유학에 이르기까지 장회익님은 꾸준히 노력을 하셨고 , 공부에 있어서 경쟁이란 거의 해본적이 없다고 말씀하신다. 그렇다 장회익님이 서울대학교 입시 시험을 앞두고 .. 기도를 할때에도 많은 고민을 하며 ..

제가 붙게 해주세요 라고가 아닌 " 공정하게만.." 결과를 봐달라는것과 .. 몸은 허약했지만 산타기에 남보다 빨랐던 자신이었지만 100미터 고지를 앞두고 ..자신보다 앞서가던 사람을 재치고 나갈수 없었다는 이야기속에 ..참으로 겸손하고 더불어 살아가길 원하는 분이시라는걸 느꼈다. 그가 존경한 위그너박사님 또한 겸손의 대가이지 않은가 .. 자신이 존경하는 인물을닮는걸까?

 

장회익님의 어린 시절부터..자신이 그토록 원하던 물리학을 공부하셨지만 하나의 학문에 몸담기를 바라지 않고 끊임없이연결 고리를 가지고 그 관심분야를 넓혀 나가시고 끊임없이 열정으로 공부에 임하신 장회익님. 그의 자서전 속에 부모로써의 자식에게 보여주어야 할 모습과 지금 우리가 얼마나 기계적인 공부를 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다시한번 생각을 많은 생각을 던지게 한다.

 

아인슈타인과 많이 닮아있는 장회익 님은 스스로도 아인슈타인과 비슷한 환경과 비슷한 삶을 살았다고 하신다. 우리는 제도권 교육에 너무나 익숙해져 있는 세대이고 ..나또한 지금 공부를 끊임없이 하고 있지만.. 깊이있는 공부를 해보거나 혼자 어떤 문제에 대해 골똘히 생각해보기 보다는 해답이나 해설..누군가의 도움을 통해 문제를 풀기에 급급했던게 사실이다. 이책을 통해 아직 남아있는 내 삶에

많은 공부들이 남아있음에 조금은 행복해 지고 .. 완전히 그 공부법이란걸.. 공부도둑이 될수 있을까? 하지만 지금처럼 꾸역 꾸역 먹여주는 공부를 조금 벗어나서 .. 많은 생각을 할수있고 .. 또 여러가지 방법을 통해 한가지를 보고 많은걸 생각할수 있는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평생을 공부꾼으로 살아온 장회익님의 삶이 부럽기 그지없다. 나또한 한가지 학문에 순수하게 한길을 파고 싶지만, 늦지 않을까? 다시 해도될까? 많은 갈등과 고민이 있지만 중요한건 꾸준히 향해가다보면 틀림없이 길은 만나지리라는것이다.

장회익님의  삶을 통해서도 희망을 얻는 사람들은 많을것이다 . 자신이 하고픈 공부를 위해.. 공부를 할수 없는 여건 속에서도 그는 살아있는 공부를 했으니까 말이다 . 우리에게는 볼수있는 많은 책과 언제든지.. 도움이되는 것들이 지천에 널려있다. 그러면서 아직도 부족한 뭔가를 더 탓한다면 이건 정말  차려진 밥상에 숟가락으로 받을떠서 씹어달라는 소리가 아니고 뭐란 말인가?

나는 조금씩 조금씩 공부를 꾸준히 할것이다. 그리고 지금도 늦지 않았음을 이책을 통해 다시한번 작은 희망을 가져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