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네르바 2007.겨울 - 통권28호
미네르바 편집부 엮음 / 연인(연인M&B)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책을 혼자 읽다가.. 책을 함께 읽고 , 책에 관해서 이야기를 하고 , 나와 같은 책을 읽은사람들의 짧은 서평들을 보며 나의 느낌과 다른부분을 찾으면서 책을 읽는다는 행위 자체에 습관이 들어버렸다. 2년~3년 남짓..그전엔 그냥 이래저래 두서없이 보기 일쑤 였는데 말이다.

 

문예지는 내게.. 국어 자습서와 비슷한 느낌이었다. 고등학교때 ..고교평설을 뒤적거리면서. 당시 문학동네 문예지를 학교 도서관에서  뒤적 거리며 보는날엔 눈꺼풀이 천근만근 내려온다. 시를 좋아하지만 몰아서 읽기를 즐기지 않고, 허구로 가득찬 소설보다는 진솔한 에세이를 더 좋아했던나였다. 이런내게 문예지를 내 돈으로 받아보는건  그야말로 있을수 없는 일이었다. 빌려본다면 모를까? 이런 문예지에 있어 구두쇠였던 난 올해 부터 문예지 한권을 받아본다. 월간으로 달달이 받아볼수있는 .. 계간지를 받아볼까 하고 이래저래 고민을 하고 있던 찰나.. 미네르바를 만났다.  계간지를 꼼꼼히 읽은적이 없었던나..뒤에서 부터 끄적.

앞에서 부터 끄적 ..중간에 끄적 보다가 덮어버린 내게 문예지를 한권 다 읽는다는건

전집을 읽는것과도 같은 지루한 시간이라고 생각했으니까..

하지만 이렇게 책에 대한 애정이 듬뿍 담은 요즘내겐.. 미네르바 계간지가 참 반가웠다.

무엇보다 시가 많아서 더 좋았었다. 신작시를 읽으며 눈에 익은 시인들의 이름들을 만나서 더 반가웠고 , 이윤학 시인의 시는 시를 읽는사람이라면 정평이 나 있는 인정받는 시인이라는데 난 계간지를 통해 처음 만났으니.. 시에 대한 앎은  아직도 멀었다 보다 ..

이윤학 시인의 인터뷰를 위해  고생한 정준영 시인의 노고를 다시한번 인터뷰를 읽으며 느낀다. 그리고 이윤학 시인의 시를 짧게 설명하고 ..그의 시를 좀더 가깝게 다가가는 법에 대해서 , 인터뷰를 통한 진솔한 시인의 대답을 통해 어떻게 시를 읽을것인가 하는것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해보게 되었다. 솔직히 이윤학 시인의 시를 해설없이 읽게 된다면 나는 결코 이 시인과는 거리가 좁혀지지 못했을 것이다. 하지만 정준영씨가 말씀하신것처럼  "작품이란 일차적으로 작가를 보여주는 것이고 한 편의 시 역시 그 시인에게로 귀속될때 해석의 즐거움이 있다." 이윤학 시인의 시는 시인이 사물을 통해 얼마만큼 보는것의 즐거움에 빠져있는가를 아는 것과 읽는 독자가 얼마만큼 그 즐거움에 동참하느냐가 새로운 감상의 기준이 된다이야기를 듣고 이윤학 시인의 읽으니 ..시는 살아있다.


단편소설, 박쥐우산과 역광또한 흡입력이 있었다. 박쥐우산을 읽고는 골똘히 생각을 하기도 했는데 이 단편소설을 따로 서평을 써보는건 어떨까 생각도 해본다. 문예지를 읽는 기쁨은 나도 글을 잘쓸수 있게 될것이라는 묘한 자신감이 생긴다는것이다.

다른 문예지보다 시에 비중을 둔 계간지 미네르바. 문학에서 시에 좀더 관심이 많다면

미네르바를 읽는동안 행복한 시간과 함께 멈춰버리 않을까?

신작시들은  아직도 시 감상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나로써는 좀더 읽어보고 그 느낌을 느끼고 싶다. 미네르바 책을 받아들고 .. 표지에 약간은 거만한 듯한 이 사람은 대체 누구인가? 처음 책을 받아든 순간 부터 ..그런 첫인상의 느낌.. 인터뷰하기 참 어려웠던 시인.. 이윤학시인을 미네르바를 통해 알게된것.. ^^유쾌한 행복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