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 북 - 젊은 독서가의 초상
마이클 더다 지음, 이종인 옮김 / 을유문화사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마이클더다의 오픈북을 읽으며.. 남강이 내내 생각이 났다.. 남강은 1년동안 1000권의 책을 독파했다.

1년간 천권의 책을읽으며 남강의 깨달음은 대단했고, 나또한 1년간 그렇게 책을 읽을수 있다면 좋겠다 라고 생각을 했다. 마이클 더다는 가난한 제철공노동자의 집안에서 태어났다. 하지만 그가 어릴적부터 그렇게 책읽기를 즐거운 취미로 만들기 까지는 따뜻한 목욕후 아이를 품에 안고 책을 읽어주시던 어머니와 . 몸이 아파 쇼파에 누워있는 아들에게 ..시를 읽어주셨던 아버지의 사랑이 만들어낸것이라 생각했다.

마이클 더다가 아버지와 책을 보러 도서관에 갈때면 자기가 뽑아든 책을 ..네가 읽기엔 어려운 책이라며 다시 꽂으라며 다른 쉬운책을 권해주는 사서를 보며 좌절감을 느꼈다는 마이클 더다의 귀여운 투정은 읽으며 웃음을 자아내게 했다.

그는 어릴적 부터 .. 나이에 맞지 않는 어려운 책을 읽었다. 내 기억을 더듬어 보아도 중학생때 헤르만 헤세의  유리알 유희를 읽으면서..이해되지 않는 그 용어들과 .. 처음 만나는 생소한 단어들을 보면서 난 알수없는 기쁨을 느꼈었다. 모르는 용어나 개념이 나올때 마다.. 새로움을 발견 했다는 그런 희열감이라고 할까? 마지만 마이클 더다와 나의 차이는 ^^

나는 책을 읽고 오랫동안 생각을 할수 없었다는 거였다.

마이클 더다는 자신의 성격을 하나님과 상담에서 얘기할수 있다면 좀더 유머러스 하고 , 외향적인 성격으로 고쳐달라고 말하고 싶다 했지만. 지금의 마이클 더다가 최고의 서평가로 자리하기 까지 그의 성격이 장점으로 작용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도 해본다.

마이클 더다가 좀더 깊이 있는 공부를 할수있게 도와준. 글쓰기의 본질과 글읽기,독자의 독창적 해석등을 가르쳐 주셨던 가르침을 가르쳐준 교수님들이 참으로 인상깊었다.

이 부분을 읽으면서는 고1때 담임 이셨던 문학선생님이 생각났다.

문학시간은 교과서 위주가 아닌.. 글쓰기를 위한 시간이었다. 그시간 만큼은 어떤 글이라도 독창적인 나만의 생각으로 날개를 달고 글을 쓸수 있었으니까 말이다. 인생을 살며 짧게 혹은 길게 ..잠깐 스치더라도 인생의 한부분 쯤은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 교훈을 주는 분들을 만난 다는건 참으로 행운인것같다. 마이클 더다가 가난한 노동자의 아들로써 명문대를 다니며 느꼈을 자괴감, 열등감을 그의 아버지를 통해 이겨낼수 있었고, 평범한 학생이 가장 나쁘다던 과제의 결과를 통한 교수님의 냉정한 한마디가 그를 열정으로 이끌었는지도 모르겠다.

 

 

내가 책을 꾸준히 읽은것은.. 우연히 알게된 책 커뮤니티를 통해서였다.

평소에 도서관을 즐겨 가기는 했지만. 서평이나 ..짧은 독후감을 남기는것 자체를 귀찮아 했던 나로써는.. 좋은습관하나를 기르게 된것이다.

꾸준한 서평과..꾸준한 책읽기로 내삶은 변했고 ..또 앞으로도 변할것이다.

힘이들땐, 책속의 많은 위인들과 고전속 인물들을 다시 만나 내 문제를 상의할수 있었고

가슴이 메마른 느낌이 들땐..따뜻한 시들로 내삶을 좀더 풍요롭게 채울수 있었다.

 

마이클 더다의 어릴적 부터 대학교 3학년때 까지의 자서전과 같은.. 이 책은 마이클 더다의 신변이야기를 비롯한 책에 관한 얘기들로 가득하다. 그가 언급한 책들은 짧았고 , 좀더 설명해 주었으면 하는 아쉬움도 남았다. 오픈북을 읽고 ..그의 책을 찾았지만 국내에서 번역한 책은 잋 이책이 한권 뿐이라는 것이 너무나 아쉽다.

 

미국의 대표적인 서평가 마이클 더다/ 워싱턴 포스트신문의 문학기사와 서평을 집필하고 있는 그는 유년시절부터 지금까지 셀수도 없는 많은 책을 읽었다. 책을 읽는내내 ..그의 서평엔  분명한 그만의 색깔이 있을것이고, 그런 그의 서평을 읽어보고 싶었다.

마이클 더다, 책또한 작가의 생각으로. 그 작가의 작품을 읽고   작가의 의도를 읽어내며 동시에 작가의 의도를  뛰어넘는 깨달음은.. 내가 느낀바 대로 멋진 색깔의 그림이 펼쳐진 서평을 (글을)쓰고 싶다는것 또한 내가 책을 읽고 ,  또 서평을 쓰는 이유인데..

마이클 더다의 오픈북을 읽고 나의 그런 바램은 더욱 간절해 졌다.

 

고등시절 그의 책 목록에는 우리가 고전으로 읽어야 할 필독서들이 많았다.

그리고 부끄럽지만 제목은 익숙하지만 아직 끝을 맺지 못한 책들도 참 많았다.

남강의 적은 내안에 있다 라는 책을 보면 남강이 일년간 책을 읽은 목록이 있다. 그 목록을 보면서.. 정말 대단하다고 느꼈지만.. 마이클 더다 역시 장르를 넘나들며 읽은 그의 책목록은 감탄을 자아낸다.  또하나의 목표가 생긴듯 하다.

마이클 더다가 읽은 책 목록의 책들을 한권 한권 읽으며 목록을 지워나가는것 또한 너무나 행복한 책읽기 계획이 될것같다.

마이클 더다를 만나게 되서 행운이다. 그리고 마이클 더다의 저서들이 번역되어 국내에서도 볼수있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