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이이화 지음 / 열림원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고등학교 시절 1년에 걸쳐 국사 상권 하권을 배우면서 느꼈던건..역사에 대한 목마름이었다.

학생을 가르치시는 윤리, 국사, 경제선생님들은 그 당시 우리가 느끼기에는 계몽인이나 다름 없었다. 그들은 틀에박힌 교과서를 보면서도 ..새롭고 재미난 역사얘기로 수업시간마다. 새로운역사들을  우리에게 들려줬다. 그리고 교과서에 쓰여진 단 한줄의 사실에 연루된 크고작은 많은 얘기들을 선생님을 통해 듣고있노라면  어떤때는 울분을 감출수 없어 욱하는 맘에  가슴아프기도 하고 어떤땐  지나간 과거지만 이 지나온 시간들이 그대로 역사가 되어비린다는 것에 .. 속이상한 때도 한두번이 아니었다.

 

이이화님의 책을 읽는 것은 이번이 첨이다. 워낙에 유명하신 분이라 많은 책들을 소개받고도 ,

역사에 관심이 있다 하면서도 .. 고리타분할것 같은 역사관련 책을 집어들기란 내게 쉬운일이 아니었다. 하지만 최근 읽는 책들이 통일 삼국을 이룩하기 까지..그리고 조선에 관련된 옛이야기를 접하게 되니..자연스레 역사에 관심이 갈수밖에 없었다.

이이화 님의 이..역사는 .. 두꺼운 책 분량에 까마득한  빙하기 시대에서 부터 한반도 형성과정을 거쳐.. 최근 민주항쟁까지.. 우리나라의 굵직한  지나온 자취들을  할아버지가 얘기해주듯

이해하기 쉽고, 좀더  가까이 접근할수 있도록 노력한 부분에서 많은 점수를 주고 싶다.

가장 인상에  남기도 했지만 , 작가 스스로도  가장 애정을 쏟은 부분이 발해사 이다.

이 부분을 읽으면서.. 언론에서 떠들었던 중국의 동북공정론을 생각하면 지금도  가슴에서 욱하는 뭔가가 올라오는듯 하다.

 

역사관련 책을 읽으면서 어떤 책들은  사실에만 치우쳐  그져.. 문헌에 가깝단 느낌을 주는가 하면 어떤책은 저자의 생각이 짙어.. 자칫.. 역사해석에 오류를 범할수 있다는 생각도 해본다.

이이화님의 역사 또한.. 역사어세이로 분류되면서  우리에게 .. 저자 이이화가 생각하는  우리나라의 역사에 대해 말하고 싶었던것 같다. ^^ 그리고 책을 읽으면서 많은 부분..저자가 생각하는것에 공감할수있었다.

 

 "역사는 흐른다." 우리가 지금 이렇게 저렇게 해석하고 맞다고 생각하는 역사의  진위는  언제라도 바뀔수있을것이다. 그 사건을 새롭게 해석할 만한 증거와 관련 문서들은 끊임없이

발굴되고 , 연구되어야 할것이다.

역사가 한사람의 눈에 의해 편파적으로 해석될때.. 나라는 눈을 감은 심봉사가 되는것이아닐까? 부끄럽든 자랑스럽든.. 지나온 자취는 우리의 과거이고 역사이다.

역사의 왜곡은 한두번 있었던 일이 아니다. 우리는 많은 역사서를 두루 접함으로써

좀더 우리 역사에 대해 가까이 다가가고 , 좀더 편해짐으로써   틀안에 박힌역사를  다각면에서

관찰하고, 알아가며  우리의 역사에 책임을 질수있아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