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채화 쉽게 하기 - 투명 수채 기법
김충원 지음 / 진선아트북 / 200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충원님은 나의 미술선생님이다. 책으로 이렇게 그림공부를 할수 있다것에 감사할 따름이다.  지난번 색연필로 스케치하기를 배우며 , 난 열심히 색연필로 그림을 그렸다.

물론 그건 수채화 색연칠이긴 했지만 풍경화보다는 아직 내게는 작은 그림이나 캐릭터를 모사하는 것이 더 흥미로웠다.

 

수채화 쉽게하기. 나는 수채화를 좋아한다. 물을좋아한다.

연필스케치, 색연필 스케치는 그리고 나면 멋진 그림이 되지만 그래도..

그림이라고 하면 물감과 물을 섞어가며 .. 얼굴에 팔에 물감을 묻히며 그려야 한다는 나의 귀여운 발상은 책을 만나기도 전에 전문 화방에 들러 .. 물감이고 붓을 사들이는데 공들였다. 비록 전문 화방에서는 가장 저렴한 가격이었지만 말이다. 그리고 또한번

목수가 연장탓한다 하며 혼자 피식 웃는다.

알루미늄 파레트/ 수채화 물감/ 18호 붓 한자루를 준비했다.

책을 읽으며 알게 되었는데.. 파레트와 물감까지 ^^ 준비를 잘했다. 붓은 6호와 10호

두자루만 있으면 된다 한다. 난 가까운 이웃에게 20호 붓만 있으면 된다는 얘기를 듣고 화방에서 20호 붓을 찾으니.. 그만큼 굵은거 안쓴다며 18호를 가장 많이 쓴다고 한다.

 

드디어 책을 펼친다. 준비물을 꼼꼼히 챙기고 ,붓의 스트로크기법, 종이의 경사를 주의해가며.. 그림을 좀더 잘그릴수 있는 기본적인 테크닉을 얘기한다..

물감은 파레트에 짜서 하루이틀정도 건조한뒤 ..사용하라고 하는데.. 혼자 생각이지만 바로 짜서 쓰면 왜 안되는지 궁금했다.

 

수채화 물감으로 인물도 그리고 동물도 그리고 풍경까지 그린다. 내가 가장 그리고 싶은건  풍경이다. 수채화의 대표적인 기법은 두가지. 젖은 종이채색기법과 마른종이채색기법 .. 학교다닐때 .. 수채화를 그릴때에도 .. 마른종이 기법만으로 그렸지 젖은 종이기법은 배웠지만 잘 사용하지 않았다. 김충원 선생님의 조근조근한 설명으로.. 기법을 사물하나하나  그려가며 설명을 해주시지만 .. 이해는 쏙쏙 되더라도.. 붓을 든 손은 내 맘처럼 움직이지 않는다. 젖은 종이 기법은.. 빠른 붓놀림이 포인트라고 한다. 말라버리면 자국이 남지 않게 해야 한다고.. 근데 이 자국이란것에 왜이렇게 신경이 쓰이는지 모르겠다. 내가 좀더 흥미가 가는 기법은 마른종이 기법이다.

가을들판을 가을산을 그린다면.. 가장 이쁠것 같다. 덧칠해서 얻어지는 그 화려한 색상도 .. 하지만 수채화는 투명을 기본으로 하기때문에 너무많은 배합의 색을 써서는 안된다고 충고한다.

 

그리고 김충원 선생님이 일러준 투명수채화 기법 4가지

1.전체적 일정 톤을 결정하기 힘든 초보라면 그리기전 주조톤을 결정한다.

2.채도가 떨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너무 많은 색을 섞지 않는다.

3.종이의 흰색을 최대한 이용해 투명수채화 만의  시각적인 여백을 남긴다.

4.80%정도가 완성시점이다. 완성시점을 잘 결정해라..

^^ 와 정말 핵심포인트다. 나는 그림에서도 주조톤을 결정한다고는 생각지도못했다.

그냥 내가 보는 그대로를 담아내는것이 잘그린 그림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잘그리는 그림은 그리는 사람의 마음이 담겨있는 그림이다.

그리고 본것과 똑같이 그려야  잘그리는 그림이라는 고정관념은 버려야 한다고 김충원 선생님은 일침을 가한다. 풍경하면 .. 모네 작가가 생각난다.

아침일찍..들판에 나가..하루종일 캔버스를 펼쳐들고 ..시시각각 달라지는 빛의 모습을

그림에 담은 천재 화가.. 모두 같게 본 풍경이지만.. 모네의 그림에는 빛의 모습과 공기의 흐름이 느껴진다. 나도 풍경화를 그린다면 숨쉬는 그림을 그리고 싶다.

^^ 그리고그림에는 실패가 없다고 한다. 예술은 비교할수 없다고 한다.

우열을 가리는것은 예술을 평가하는 방법이 아니라고한다. 나도 사물을 보는 눈을 기르고 나만의 그림을 그릴수 있었으면 좋겠다.

 

하지만 수채화는 붓이라는 마법빗자루로 그리는 그림이라.. 내맘과 같게 움직일때 까지.. 열심히 기초를 공부해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