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적 유전자 - 30주년 기념판
리처드 도킨스 지음, 홍영남 옮김 / 을유문화사 / 2006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이기적 유전자/ 제목이 낯익다고했는데.. 고등학교 필독서였는데.. 생물과목을 좋아하는 나였지만. 이책은 그당시 서문만 읽었을때도 머리가 혼란스러웠던것 같다. 그래서 서문을 읽기에도 힘들었던 책으로 어렴풋한 기억이 난다.

 

리처드 토킨스..그는 다윈의 진화론과 자연선택설의  개념을 인정하면서  기발한 발상인 이기적 유전자에 관한 가설을 일목요연하게  펼친다.

유전자는 이타주의적인 혹은 이기적인이다. 이개념은 우리 사회에서 이해하는 의미와는 다르며.. 유전자 자체에 이 이기적인 혹은 이타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라고 말한다. 그리고 동물들의 행동을 사례로 들어 유전자의 이타적인 혹은 이기적인 모습들을 설명한다. 그 예로 몇해전 텔레비전에서 사마귀는교미시 숫놈의 머리를 먹는다. 암놈 사마귀는 움직이는 모든 곤충을 잡아먹는데.. 교미를 하며 숫놈의 머리를 먹는데 이것은 억제중추신경인 머리를 제거함으로써 성행위를 활발하게 하고 결과적으로는 암컷사마귀는 좋은 먹잇감을 얻는다는 것이라고 했다 여기에서 암사마귀의 행동은 이기적이라고 했다. 동물들의 행동들을 그냥 무심코 지나치지 않고 그들의 행동특성을 이렇게 나열할수 있다는 것이 놀랍기만 하다.

 

도킨슨은 인간을 비롯한 모든 동물은 유전자의 보전을 위한 기계에 불과 하다고 얘기한다. 이 주장을  처음 접했을때..다윈의 진화론은 과연 뭐란말인가? 우리의 먼 조상이라 알려진 직립보행을 한 오스트랄로 피테쿠스는..그럼 거짓이란 말인가?

40억년전 스스로 유전자를 복제해 내는 분자가 있다고했다. 복제자는 오래전 부터 떠돌아 다녔고 그렇게 떠돌아 다니다.. 좀더 안전하고 유전자를 지킬수 있는 기계가 필요해 우리의 몸과 마음을 창조했다고 하는데.. 정말 이지 이 이론은 충격이다.

우리가 살아가는 이유가 자기 유전자의 보존을 위해서라니..그리고 이 유전자 보전에 관한 주장은 세대간의 다툼..암수의 다툼, 끊임없는 경쟁을 설명해낸다.

우리가 이타적 행동을 하거나 혹은 이기적 행동을 하는것도 유전자 보전을 위한 행동이라고 한다. 

 

슨의 이론중 가장 충격적인 것이 문화유전론 (밈)이론이다.

유전적으로 진화되는 단위를 유전자라고 한다면.. 문화적으로 진화되는 단위를 밈이라고 새롭게 가설을 세움으로써 유전자는 한 개체에서 다른 개체로 복제 되지만 문화는 각기 다른 문화에서 모방과 창조를 통해 뇌에서 뇌로 진화된다고 하는 유전론이다.

실로 새로운 가설일수가 없다. 뇌에서 뇌로 진화된다고 하는 문화유전론.. 솔직히 이 밈이론은 매력적이다. 우리 인간도  자신의 2세를 낳음으로 자기의 유전자를 전달한다고 할수있다. 밈 이론또한 수많은 문화를 통한 모방과 창조를 통해 새로운 문화를 창조해 낸다. 

이책이  신선한 충격을 주었던 이유는 다윈의 진화론을 개념으로 한 유전자의 전달을 위한 기계로의 인간의 역할과 또  생태계의 살아있는 모든 생물에 대한 회의는 어쩔수 없는 노릇이다. 이 도킨스의 새로운 가설, 생명이 있는 모든 생명체는 유전자에 의한, 유전자를 위한 기계라는 주장에 .. 많은 생물이 복제에 성공하고 있는 지금

인간마져도 단순히 기계에 치부해 버리고 만다면.. 그의 주장은 지금껏 이책을 접하지 못한 많은 독자들에게 커다란 파장을 일으킬 것이다.

좋은 유전자를 선별해서 교미를 하고 더좋은 종으로 생명탄생을 할수 있다는 얘기도

했지만.. 여느 생물과는 다른 스스로의 행동을 통제라고 자유의지를 가지고 있는 인간은 도킨스의 주장처럼 유전자의 지배를 받을까 라는 의문과.. 아닐것이라는 자기위안으로 이책을 덮지만 .. 도킨스의 가설/주장은 참으로 우리 인간에게 위험천만하고 놀랄만한 리마커블한 주장일지 모르겠다.

책을 읽으며 몇날몇일을 잠을 이루지 못했다는 학생과..사람들 .. 나또한 이책을 읽으며 정말 인간은 무엇인가? 나는 무엇으로 살아가는가 하는 본질적인 질문을 던져보게 된다. 이책은 어렵다..하지만 흥미진진하다. 30년전 초판이 발행되었을때.. 그책은 솔직히 어려운 개념의 단어들이 풀이도 채 되지 않았었다. 이책은 비교적 읽기는 쉽다.하지만 찬찬히 곱씹으며 읽어야 할 책이다. 그냥 술술 읽다보면 도킨스의 가설에 말려들지도 모르겠다.  우리는 자유의지를 가지고 스스로를 통제하는 인간이다. 도킨스의 주장또한 새롭고 .. 어느 가설에선 흥미진진하고 어느정도 수긍할수 있지만 .. 우리 인간에게 까지 그 가설을 펼치기엔 .. 조금 위험한 생각이 아닐까 생각하며..이책을 덮는다.

이책은 두번은 읽어보길 권한다. 어렵지만 재미있는 책.. 이기적 유전자.. 나스스로를 되짚어보는 본질적인 책이 되지 않을까 생각하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