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촐라체
박범신 지음 / 푸른숲 / 200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작가가 인터넷에 소설을 연재하는 것이 새로운 도전이듯, 이 책을 읽으며 나도 낯선 분야의 책을 읽는다는 것이 새로운 도전처럼 느껴졌다. 촐라체 정도에 도전하는 사람들이 동산쯤으로 여길 산 정도도 내게는 버거움이고... 숨이 턱에 차게 올라가기에...
등정에 나오는 낯선 용어들, 피켈 피크니, 피켈 애즈니, 크레바스니 하는 용어를 어림짐작으로 읽는 것도 작가가 새로운 도전에 과감히 나선 것처럼 나에게도 새로운 시도를 하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잠시 들었다.
촐라체의 저 거스를수 없을 것 같은 위풍당당함에 잠깐 주눅이 들고는 장을 넘겨 촐라체 속으로 나의 새로운 도전도 시작된다. 깎아 지른 빙벽을 최소한의 장비로 오르는 두 남자의 무모한 도전이 내 앞에 설원과 함께 펼쳐진다.
인간의 도전에 굴복당하지 않겠다는 듯한 저 당당한 모습. 왜 그들은 저 도도한 산을 정복하려는 것일까? 그들도 왜 산에 그렇게 힘들게 오르냐? 하고 묻는다면 "산이 거기에 있으니까" 하는 전대미문의 명언을 남긴 말로리처럼 그리 대답할까? 그들이 산에 오르는 이유가 궁금하다. 그들은 어떤 마음으로 산에 오를까? 두 남자의 속내를 들여다 보고 싶다. 두 남자의 등정 코스를 눈으로 쫓으며 두 사람의 상처를 발견하며 어느새 측은지심이 되어버린다.
아버지가 다른 두 형제. 그들은 현실을 도피하듯 촐라체에 온다. 촐라체를 정복하고 나면, 그것은 곧 자신을 넘어서는 용기를 얻는 것이고, 무엇이든 이겨낼 수 있을 것처럼... 그렇게 그들 스스로를 이겨내기 위해 촐라체 등정에 나선다. 읽으며 촐라체의 거센 저항에 부딪힌다. 아름다운 설경과 함께 숨어 있는 얼음파편, 언제 발목을 잡을 지 모르는 크레바스와 눈 폭풍, 눈 사태, 그리고 동상등에 맞서 로프에 의지해 있는 두 사람의 모습은 보기만 하여도 아찔하다.
너무나 사실적인 묘사에 전율이 느껴진다. 인간의 극한 한계 상황을 이다지도 적나라하게 표현했을까?
나는 배낭에서 나이프를 꺼낸다. 나라도 살아 돌아가려면 로프를 끊어야 한다고 나는 생각한다. 이제 칼날을 펴서 로프에 대면 된다. 팽팽히 당겨진 로프니까 칼날을 대기만 해도 끊어질 것이다. 너희 엄마. 미워하지 마라. 불현듯 아버지의 목소리가 들린다.(page139)
로프는 스스로 끊어졌지만 형이 살기 위해 로프를 끊었다는 사실은 하 영교가 살아야 할 이유가 되었다. 형의 주검을 확인하고 싶다.
산에선, 내가 위험하면 로프에 친구가 매달려 있어도 그 줄을 끊어. 라고 그가 말하고 있다. 추락한 친구가 매달린 로프를 자른 어느 산악인의 이야기를 한 것 같다. 내가 추락하면 형도 로프를 끊겠네요.라고 내가 묻고. 아마도.... 형이 모호하게 말 끝을 흐린다. 모호한 것은 말뿐이다. 자신이 살기 위해 내가 매달린 로프를 자르고 있는 형의 칼끝은 전혀 모호하지 않다.(page 149)
다시는 못 볼것 같은 두 사람은 다시 만나게 되고... 상민은 신혜를 떼어내는 듯 단호히 차랑고 몸통으로부터 가죽을 떼어낸다. 목재 지지대 두 조각을 만들어 영교의 발목에 부목을 대준다. 연민으로, 헤어진 신혜가 준 차랑고를 산에 오를 때도 소중히 간직했으나, 모든 것에서 훌훌 털고 이제 동생을 구하는 일에만 전념하고 있다. 그들은 어찌될지도 모르는 상황에서 함께 사는 일을 선택한다. 아니, 함께 죽는 일을 선택했는지도 모르겠다.
그렇게 험준한 산의 저항을 온 몸으로 맞서 싸우며 그들은 그렇게 산을 정복한다. 만신창이가 되어 산을 내려온다. 그들은 서로의 상처를 내보였고, 서로를 보듬을 힘을 얻었다. 인간의 처절한 몸부림이 극한의 상황에서 얼마나 절박하게 만드는지 눈을 통해 온 몸으로 전이되는 것을 느꼈다.
이 책은 모든 사람에게 도전이 아닐까? 작가는 새로운 시도에 도전장을 던진 것이고, 나는 알지 못했던 세계에 충격을 받고 있다. 그들, 박상민과 하영교가 나선 나를 넘어선 도전에 관람객이였지만 그들은 내가 되고, 나는 그들이 되어 어느새 성숙한 나로 돌아왔다.
그래, 다음엔 어디에 도전해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