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가지고 있는 모든 것을 잃었을 때 진정 가진 것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는 생각을 주제 사라마구는 사백 여 페이지에 걸친 이 상상력의 결과물에 나타내고 있다. 사람을 사람답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아니, 그것 보다 훨씬 이전에, 사람답다는 것은 무엇인가. 사람답다는 것이 과연 규정지을만한 것인가.

  눈이 머는 전염병이 세상을 뒤덮는다. 그리고 그 중 단 한 사람만이 시력을 잃지 않는다. 이러한 설정으로 작가는 두 가지 극단의 상황을 만든다. 눈을 잃은 사람들의 상황과 그 불쌍한 사람들 사이에 혼자 눈을 뜨고 있는 여자의 상황.

  지금 내가 살고 있는 세상에도 분명 눈 먼 자들은 있다. 하지만 이 소설 속의 눈 먼 자들과는 차원이 다르다는 것은 이미 분명한 사실이다. 현실의 눈 먼 자들은 그들의 얼굴에 맑고 튼튼한 두 눈알을 가지고 있지 않을 지라도, 사실은 간접적인 시력을 가지고 있다고 해야 옳다. 눈이 멀지 않은 사람들의 눈 먼 사람들에 대한 보호는 곧 시력의 공유이다. 눈 먼 사람이 지나갈 때 눈멀지 않은 사람들은 그를 비켜갈 것이며 눈 먼 자가 위험한 처지에 있다면 굳이 착한 사마리아인이 아니라 해도 눈멀지 않은 사람들은 그에게 외칠 것이다. 조심해요! 길을 잃거나 방향감각을 잃었을 때는 지나가는 사람들에게 물어볼 수 있다. 택시나 버스를 타고 다닐 수도 있으며 누군가 읽어주는 책을 들을 수도 있다. 사실, 우리 곁의 눈 먼 사람들은, 우리의 관점에서 볼 때 긍휼을 베풀어야 마땅할 안타까운 사람들이지만, 소설 속의 사람들과는 비교할 수가 없다.

  주위에는 모두 나처럼 눈 먼 사람들뿐이다. 길 한 가운데서 길을 잃은 나는 일 분도 되지 않아 방향을 잃는다. 집이 어느 방향에 있는지도 모른다. 주춤주춤 거리며 앞으로 가다가 앞에서 다가오던 다른 눈 먼 사람과 부딪혀 넘어진다. 일어나 이제는 보이지 않는 어떤 장애물에 부딪히거나 그것에 걸려 넘어지지 않기 위해 더 안전한 자세를 취한다. 두 발과 왼쪽 팔로 땅을 짚고 오른 팔을 앞으로 휘휘 저으며 엉금엉금 기어간다. 주위의 사람들에게 물어봐도 소용없다. 그들은 어디가 동쪽이고 어디가 서쪽인지를 모르며 나처럼 세 발로 정처 없이 기어가고 있을 뿐이다. 사거리에서 어디로 가야 나의 집이 있는 동네가 나오는지는 그들도 똑같이 모른다. 나는 이제부터 어디로 가야하는 것인가. 누군가와 무리를 지어 다닐 수 있다면 그것은 다행이다. 내 몸을 해치려는 무리(개나 고양이나 사람과 같은)를 만난다면 하나 보다 둘이 세니까. 목숨을 부지하는 데 아무런 소용이 없는 사치를 부리지 않는다면, 먹을 것과 잘 곳과 입을 것만이 눈 먼 내가 당장 구해야 할 것이다.

  작가는 이런 사람들의 모습을 거침없이 묘사한다. 너무나도 발가벗겼기 때문에 감추는 데 익숙한, 그리고 감춘 것을 보는 데 익숙한 우리들에게 거북하기까지 하다. 눈 먼 사람들 속에 사는 눈 먼 사람은 더 이상 타자를 생각할 여유를 가지지 못한다. 타자를 생각하는 것은 여유로운 자들의 사치에 지난다는 것을 너무나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무질서가 질서가 되어가는 모습은, 카오스가 일상이 되어가는 모습은, 그러니까 사회(질서와 조직이 없는 무리도 사회라고 부를 수 있다면)가 혼돈에 익숙해져 가는 모습은, 우리가 생각해왔던 사람다움의 범주를 벗어난다. 빵 한 조각을 얻기 위해 앞서 달리다 넘어진 사람들을 밟고 지나가는 사람들. 밟혀 죽는 사람들은 그들을 밟아 죽인 사람을 욕할 수도 없다. 둘은 똑같이 눈 먼 사람들이니까. 밟혀 죽은 사람도 이미 여러 명을 밟아 죽인 살인자일 수 있으니까.

  읽는 사람의 눈살을 잔뜩 찌푸리게 만들 만한 장면도 역겨우리만치 묘사해낸다. 도시 전체가 똥과 오줌과 쓰레기와 죽은 동물들(개나 고양이나 사람과 같은)로 뒤덮힌다. 앞이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깔끔하게 뒤를 닦는 일은 불가능하다. 첫째로 그동안 볼일을 보던 곳이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없고, 둘째로 더러운 것을 보이지 않게 치워줄 상수도가, 이제 그것을 관리하는 사람들도 눈이 멀었기에, 더 이상은 없으며, 셋째로 이미 다른 사람들이 길거리에 아무렇게나 싸놓은 똥오줌이 손과 발과 온 몸에 묻어 있어 더 이상의 불결함을 느낄만한 감각기관이 없기 때문이다.

  우리가 생각하는 사람다운 식생활도 눈 먼 자들의 도시에서는 사람다움의 범위에 속하지 않는다. 썩어서 딱딱해진 빵조각이나 시뻘건 생 닭과 생 토끼는 우리가 생각할 때 사람이 먹을 수 있는 게 아니다. 하지만 새나 개나 고양이들이 반쯤 뜯어먹다 버려둔 굶어죽은 시체들이 길에 돌부리처럼 차이는 이 도시에서는 없어서는 안 될 식량이다. 그것을 구하기 위해 지하 창고로 내려가다가 계단에서 굴러 떨어지고 밟혀서 죽은 수십 수백 명의 목숨과도 같은.

  눈을 잃지 않은 유일한 사람은 의사의 아내(이 소설의 등장인물들은 이름이 없다. 이름은 사람의 옷차림이나 얼굴 생김새 따위의 겉모습과 같은 거니까. 눈이 없는 도시에서 겉모습은 무의미하다)뿐이다. 아직 눈 먼 사람이 눈 멀지 않은 사람보다 적은 숫자일 때 안과의사인 남편을 따라가기 위해 눈이 먼 척을 해 수용소로 함께 들어온 이 여자는 선(善)의 화신이 된다. 끝까지 일행의 눈이 되어주는 그녀의 희생은 어쩌면 소설이기에 가능한 것이라는 생각, 현실이라면 저런 사람이 있을 수 없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거룩하다(그래서 이 캐릭터는 소설의 리얼리티를 떨어뜨리는 요소로 어느 정도 작용한다고 생각한다). 선을 사랑하고 악을 살인하는, 그리고 악의 살인에 조차 죄책감을 가지는 그녀는 무질서한 세상에 존재하는 마지막 정의로 그려진다.

  존엄한 수치심의 마지막 끝자락이나마 부여잡고자 하는 그녀의 노력은 작가가 폭로하는 인간의 본성에 결코 반하는 모습이다. 작가는 분명 가진 것을 모두 잃었을 때 진정 가지고 있는 것을 알게 되리라는 말을 하고 있다. 즉 의사의 아내를 통해 주제 사라마구는 그녀의 모습이 우리가 지향해야 할 궁극의 선이라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휴머니즘이 아니라는 말이다. 그녀가 정의감을 잃지 않은 것은 그녀가 잃지 않은 두 눈에서 기인한다. 그녀가 눈이 멀었다면 분명, 악하지 않은 사람들의 목숨을 위태롭게 만드는 악의 무리를 처단하는 정의로운 살인자가 아니라, 썩은 빵 한 조각이라도 얻기 위해 넘어진 사람들을 밟아 죽이는 살인자가 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녀가 가진 강철 같은 의지력은 실로 대단한 것이다. 눈 먼 자들의 도시를 눈 먼 자들이 볼 수 없었다는 것은 아이러니컬하게도 불행인 동시에 행운이다. 그들이 다행스럽게도 보지 못한 것들을 의사의 아내는 볼 수 있었던 것이 아니라 보아야만 했다. 페스트가 휩쓴 중세 유럽보다 처절하고 나치스가 지나간 전쟁터보다 끔찍하고 진창으로 뒤덮힌 돼지우리보다 불결한 눈 먼 자들의 도시를. 사실 모두가 눈 먼 세상에서 눈이 먼 것과 모두가 눈이 먼 세상에서 눈이 안 먼 것 중 어느 상황에 처하는 것이 더 불행한 것인가를 따지는 것은 불가능한 것일지 모른다. 다만 알 수 있는 것은 우리가 지금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 지금 우리 스스로의 모습이 진짜가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이다.

  나의 선(善)이 진실로 나의 것인가. 진실로, 내가 선한 것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