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도전과 조선건국사 - 드라마로는 다 담을 수 없는 고려멸망과 조선 건국에 관한 얽히고설킨 흥미진진한 이야기
조열태 지음 / 이북이십사(ebook24) / 2014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개인적으로 역사에 관련된 책들을 많이 읽어보지 못해서인지 처음에는 저자가 풀어나가는 방식이 다소 어색하게 느껴졌다. 그러나 이내 친숙하게 느껴질 수 있었던 것은 아무래도 꾸밈없이 편안하게 본인의 논리를 펴 나갔던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또한 저자가 역사 쪽으로 전공자가 아닌 것이 오히려 일반인들에게 더 쉽게 다가갈 수 있게 된 계기가 아닐까 생각이 들 정도이다. 아무튼 편안한 문체로 여러 가지 사건들에 대해 왜? 라는 질문들을 통해 풀어나가는 것이 너무나도 좋았다. 아마 이후로 역사를 바라볼 때 ‘왜’라는 질문을 통해 이리저리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습관을 배운 것 같다.

 

이 책은 우리가 정사로 알고 있는 고려사, 고려사절요, 동국통감,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을 토대로 시대 순으로 나열하여 역사를 공부함에 있어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었던 것 같다. 그리고 정사에 기록을 곧이곧대로 믿는 것이 아니라 뭔가 의심가고, 논리에 맞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여러 다른 자료와 함께 저자가 고민한 흔적들에 대해 알아갈 수 있어 정말 좋았던 것 같다. 저자가 이야기한 것처럼 역사의 기록은 이긴 자의 관점에서 서술하기 때문에 한 쪽으로 치우치기 쉬우며, 또한 잘못 된 것에 대해서도 합리화시키는 것이 많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해 볼 수 있다. 아무튼 이런 것에 대해 하나씩 살펴보면서 반박해 나가는 것이 나에게 많은 공부가 되었던 것 같다.

 

이 책의 중반부까지는 익히 들어왔던 인물들도 많고, 중요한 사건들에 대해 자세하게 다루는 경우가 많아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는데, 중반부 이후부터는 처음 들어보는 인물들이 많으면서 사건들에 대해 정말 중요한 것 몇 개 외에는 그냥 훑고 지나가는 경우가 있어 무지한 나로서는 답답함을 느끼게 되었던 것 같다. 어쨌든 이 책을 통해 역사에 대해 공부하는 것이 재미있고, 왜 해야 됨을 알아갈 수 있는 것만으로도 이 책의 큰 성과가 아닐까 생각해 본다.

 

개인적인 삶에서 아쉬운 건 역사공부를 10대나 20대 젊었을 때 하지 못했다는 것이 가장 아쉬움으로 남는다. 물론 아쉬워하는 마음을 가지면서 지금부터 열심히 공부하여 우리의 후배들에게는 더 늦기 전에 역사공부를 할 수 있도록 독려해야겠다고 다짐해본다.

 

마지막으로 누군가 이런 이야기 한 것이 가슴에 와 닿아 적어본다.

 

“나라(토지)를 잃게 된다고 그 민족이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을 이스라엘 민족을 보고 우리는 알 수 있다. 그러나 역사를 잃게 되면 아무리 큰 나라들이라도 그 민족은 영원히 사라져버린 경우를 우린 역사를 통해 배우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