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년 1 - 1910-1915 무단통치와 함께 시작된 저항 (박시백의 일제강점기 역사만화) 35년 시리즈 1
박시백 지음 / 비아북 / 201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은 만화 조선왕조실록의 저자로 유명한 박시백 작가님이 일제시대를 배경으로 쓰신 책입니다. 일제시대 만화 시리즈는 총 7권이 출간될 예정이며, 이 책은 그 중 1910년부터 1915년까지의 기간을 다룬 1편입니다. 이 책은 크게 여섯 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첫번째 부분에서는 먼저 1910년대 세계 각국의 정세를 간략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메이지 유신 이후 일본의 정치적 상황과 신해혁명 등 중국의 사건들, 1차 세계대전 등 일제시대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굵직한 사건들을 간략하게 정리해놓았습니다. 우리는 흔히 일제시대라는 시기를 한국사라는 틀에서만 바라보는 경향이 있으나 일본이 조선을 지배하게 된 근본적인 원인을 바라보기 위해서는 더 넓게 세계사와 일본 정치사까지 알아둘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그런 의미에서 앞에 짤막하게나마 당시의 시대적 배경을 실어놓은 것은 굉장히 참신하게 느껴졌습니다. 두번째 부분은 조선총독부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조선을 식민지로 만들었으며 그 통치 방식은 어땠는지 다루고 있습니다. 한국사를 공부해본 분들이라면 잘 아시겠지만 이 시기 일본은 소위 말하는 무단통치를 펼쳤으며, 통치 방식은 매우 치밀하면서 무자비했습니다. 일본령 조선의 최고통치자는 조선 총독이었는데, 이 직책은 덴노의 바로 아래에 있었으며 일본 정부의 간섭을 받지 않을 수 있을 정도로 막강했습니다. 총독부는 조선 전역에 헌병대를 파견하여 일본 통치에 순응하지 않는 자들은 무자비하게 탄압했고, 조선의 교육, 행정 등등의 체계를 일본식으로 개편하여 지배를 용이하게 만들었습니다. 세번째 부분에서는 식민지가 된 조선에서 일본의 앞잡이 역할을 한 사람들, 소위 친일파들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고 있습니다. 조선인들 중 한일합방에 협력한 고위공직자들은 귀족 작위를 받아 호화로운 삶을 살았으며, 갑신정변을 이끌었던 주요 관계자들 대부분도 친일의 길로 빠져들었습니다. 또한 대한제국 시절 일본 육사에 유학했던 이들 중 상당수도 친일 군인이 되어 일본군의 고위 장교 자리를 차지했습니다. 이렇게 고위층 뿐만 아니라 하급 관료, 경찰들도 일본 통치에 적극 협력했습니다. 특히 일제시대 당시 순사 등의 하급 경찰자리는 조선인들에게 매우 인기가 높았다고 하며, 출세지향적인 일부 경찰들은 독립운동가 색출에 적극 협력하여 진급을 했습니다(대표적으로 노덕술).


네번째 부분에서는 세번째 부분과는 반대로 19세기 말~식민화 직후 기간에 국외로 망명하여 독립투쟁을 펼친 인물과 단체들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이 시기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은 일본의 탄압을 피해 연해주, 간도 등지로 망명을 떠났으며, 그곳에서도 대한 독립을 위한 활동들을 벌였습니다. 이 시기 국외로 망명을 했던 인물로는 홍범도, 안중근 등이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독립운동 단체는 신민회였습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대단하다고 생각하는 인물은 이회영과 이석영 형제입니다. 이들은 식민지 조선에서 어마어마하게 많은 재산을 보유한 갑부였음에도 독립을 위해 모든 재산을 처분하고 만주로 망명을 떠났습니다. 다섯번째 부분에서는 국내에서 저항을 선택한 독립운동가들이 등장합니다. 당시 국내에서 가장 활발한 활동을 벌이던 단체는 신민회였으나, 불행히도 105인 사건을 포함한 일제의 잔혹한 탄압으로 인해 끝내 뿌리뽑혔습니다. 191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전국 곳곳에서 산발적인 의병운동이 발생하기도 했으나, 당연히 일본의 진압으로 인해 실패했습니다. 당시 의병장중 가장 강렬하게 기억에 남는 분은 노병대라는 분인데, 그는 1907년 의병을 일으켰으나 체포되었고 일본군에 의해 눈알 하나가 뽑히기까지 했습니다. 1911년 석방된 후 또다시 거병했으나 1913년에 체포되었고, 그분은 식사를 28일간 거부한 끝에 숨을 거두셨습니다. 마지막으로 여섯째 부분에서는 하와이, 연해주, 중국 등의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들과 독립운동 단체들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이 책을 일제시대에 관심이 많은 분들 뿐만 아니라 한국사를 여러가지 이유로 어쩔 수 없이 공부해야 하는 분들에게도 강하게 추천합니다. 일단 책 자체가 분량이 작은 편이라(물론 시리즈 전체를 다 살 계획이면 좀 많아지긴 할겁니다) 읽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으며, 딱딱한 교재나 교과서로 공부하는것보다 사건의 흐름과 개연성이 잘 파악됩니다. 특히 매우 까다롭게 느껴질 수 있는 독립운동의 파트는 무조건 외우는것 보다 이러한 만화책을 통해 배우는것이 더 낫다고 봅니다. 또한 이 책은 대중적인 인지도가 낮지만 역사에 큰 족적을 남긴 중요한 인물들을 여럿 소개하고 있습니다. 가령 이 책에 소개된 의병장 노병대라는 분만 봐도 저에게는 매우 생소한 이름이었으나 이 책을 통해 그분의 업적에 대해 알 수 있었습니다. 다만 이 책에 대해 한가지 아쉬운점을 꼽자면 일제시대 일반인들의 생활사라던지 문화 등에 대해서는 다소 소홀하게 다루었다는 점입니다. 우리는 일제시대 일본 식민정부의 정책들과 독립투사들의 활동에 대해서는 많이 알고 있지만 정작 일제시대 일반인들이 어떻게 살았으며 일제시대의 문화, 예술이 어땠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알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마이너한 부분을 좀 더 조명했으면 좋았을테지만 다소 딱딱한 정치, 독립운동사 파트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는게 아쉽게 느껴졌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