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 영화 만들기
로버트 로드리게즈 지음, 고영범 옮김 / 황금가지 / 1998년 9월
평점 :
절판


아주 재미있는 책이다. 말 그대로 쉽게 쉽게 페이지가 넘어가며 가볍고 흥미 섞인 마음으로 읽을 수 있는 책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책 밖에서 '재밌다'면서 읽는 독자들과는 달리, 책 속에 담긴 로버트 로드리게즈의 '삶'은 그리 가벼워 보이지 않는다.

지금에 와서야 [황혼에서 새벽까지]와 헐리우드 블럭버스터 [스파이 키드]의 감독으로, 또 '쿠엔틴 타란티노와 절친한 사이'라는 사실 등으로 한국에까지 꽤 이름을 알린 로드리게즈이지만. 이 책에 담긴 그가 처음 영화를 하게 되고 어떻게 헐리우드에 접근하였는가에 대한 이야기들은, 지금의 그에 대해 일종의 존경심을 갖게 만든다.

낡은 카메라를 가지고 자기의 아는 사람들을 끌어 모아 영화를 만든 이야기 부터, 신약 개발의 인체 실험 대상으로 격리 수용되어 제작비를 모으고, 차를 몰고 멕시코까지 달려가 '인지도'있는 배우를 끈질기게 설득하여 결국 23살의 나이에 7천달라라는 돈으로 영화를 만들어 헐리우드에 입성하였는지 까지, 그가 일기식으로 서술한 이야기를 듣고 있자면 '참 대단하다'는 생각을 가지게 만든다.

이것은 그가 가진 특출난 재능이 아니라, 하고자 하는 일에 대해 철저하게 몰입하고 또 노력함으로써 결국 성취해 냈다는 일종의 '인간 승리'의 스토리를 접하고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존경심'이다. 뿐만 아니라, 가볍기는 커녕 어렵고 고통스러운 그의 삶에 대해, -그가 쓴 일기들을 통해- 결국 얼마나 '즐거운 마음으로' 임했는지를 발견할 수 있기에 읽는 이들도 기꺼이 즐거운 마음으로 책 장을 넘길 수 있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독립 영화 만들기]의 로드리게즈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즐거운 수확'이다.

지금의 로버트 로드리게즈가 어떠한가의 문제를 떠나, 그가 어떻게 영화를 만들고 또 삶에 임했는지는 우리에게 많은 생각할 거리를 던져준다. 실제로 영화를 전공하는 학생들 사이에서 이 책을 읽은 사람들이 꽤 되고, 열악한 환경 속에서 자신들의 영화를 만들며 서로 간에 '로드리게즈는 신약 마루타가 되면서 영화 했잖아' 라며 위로하며 작업을 진행하는 것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렇게 이 책은 영화를 전공하는 사람들이라면 마음을 다잡기위해, 그게 아닌 다른 일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에게도 충분한 재충전의 기회를 마련할 듯 하다. 물론, 다른 사람의 고생을 보고 위로를 얻는 것은 조금 고약한 마인드일지 모르지만, 잘은 몰라도 로버트 로드리게즈 자신도 사람들이 그렇게 되도록 이 책을 썼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