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동물 - 동물은 왜 죽여도 되는 존재가 되었나
김도희 지음 / 은행나무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상동물"은 동물의 권리에 관하여 쓴 책으로 동물을 인간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기준에 따라 동물을 대하는 것을 '정상동물이데올로기' 라고 정의하고
동물을 농장동물, 전시동물, 반려동물, 실험동물, 야생동물 등 인간이 정해 놓은 기준으로 분류한다. 그리고 이 동물들을 그 기준에 맞게 대하는데 특히 이런 이데올로기가 동물을 '죽여도 되는 존재'로 취급받는 현실을 만들어낸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기준을 왜 인간이 정하고 인간의 입맛에 맞게 다루고 있는건지 동물의 감정과 생각을 전혀 고려하지 않는 우리들은 반성이 필요한 것 같다.

고양이를 키우고 있는 나는 고양이를 옆에서 관찰하고 있노라면 동물도 생각을 하고 행동을 한다는것을 발견할 수 있다.
우리집 고양이는 문을 자기가 열수 있음에도 사람들이 밖에 있으면 절대 안열고 야옹야옹한다. 관종이다!!
혼날일을 하면 빠르게 식탁 밑으로 달려가 앉아 눈치를 본다. 마치 사람같다!
이렇게 생각을 하고 감정을 느끼는 동물을 인간의 편의에 의해 나누는것은 잘못된 것 같다.

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1. 정상동물 이데올로기의 기원과 현실에 대하여 서술한다. 인간이 동물을 지배하기 시작하면서 동물을 인간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그 기준에 따라 동물을 대한다. 그리고 이러한 관행은 오늘날까지 이어져 동물은 인간에 의해 '죽여도 되는 존재'로 취급받게 됬다고 지적한다.

2. 정상동물 이데올로기가 동물에게 가하는 폭력에 대하여 서술하는데 앞서 말했듯 동물들을 농장동물, 실험동물, 전시체험동물, 유기동물로 구분하고 동물들이 정상동물 이데올로기의 피해자라고 주장한다. 그리고 이들에게 가하는 폭력과 동물들에게 주는 고통에 대하여 지적하고 있다.

3.정상동물 이데올로기를 넘어서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작가는 동물의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법과 제도의 마련, 동물의 삶을 존중하는 사회문화의 조성, 그리고 개인의 동물권 인식 제고 등을 제안한다.

동물의 권리에 관심이 있거나, 동물권을 생각하고 실천하고 싶은 이들에게 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