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마약 변호사를 하는가 - 당신이 알지 못하는, 약한 사람들의 이야기
안준형 지음 / 세이코리아 / 202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왜 마약 변호사를 하는가 / 안준형

🌿 얼마 전 대마약시대라는 책을 읽고 마약에 대한 관심이 더욱 늘게 되었고, 특히 실제로 현장의 모습은 어떨지가 궁금해졌다. 이 책은 이론이 아닌 실제 현장 모습과 마약인들의 모습에 대한 내용이 적혀 있을 거라 생각되어 관심을 갖게 되었다.
저자인 안준형 변호사는 한국과 미국에서 변호사 시험에 합격한 국제 변호사로 법무 법인 지혁의 대표 변호사로 마약 사범을 전문으로 변호를 하고 있다. 저자는 마약에 빠진 이들을 변호하고 이들의 사회 복귀를 도와주는 일을 하고 있고 이들을 만나면서 느낀 것들을 이 에세이에 담고 있다.

이 책을 통해 다음과 같은 질문들에 대한 답을 얻을 수 있었다.
✨마약을 하는 사람들은 왜 마약을 시작하고 끊지 못하며, 다시 마약을 하는 것일까?
✨마약으로 형 집행을 하고 나온 범죄자들을 우리 국가는 어떻게 관리해 주고 있을까?
✨저자는 왜 이 마약 범죄자를 옹호해 주는 것일까?
✨변호사의 옹호로 어떤 선의를 얻게 될 것일까?

책을 읽고 난 후, 나는.
☑️ 마약으로 인해 삶이 파괴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우리 사회가 마약 문제에 얼마나 무관심했는지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다.
☑️ 마약으로 형 집행을 하고 사회로 복귀한 이들을 관리 감독하며 치료해 주는 사회, 국가적 지원이 부족하다는 것이 너무 안타까웠다
☑️ 마약이라는 중독성이 심한 고위험 약물로부터 마약중독자들에게 적절한 치료와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마약에 대한 수요가 줄게 되고 수요가 줄면 공급 또한 줄어 마약 판매업자가 줄어들지 않을까? 생각한다.
☑️ 마약 중독자들의 치료와 사후관리로 이들의 재범률이 증가되지 않는다면, 비용 절감의 효과를 보게 될 것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는다.

✍️ 저자는 마약 중독자도 인간으로서 존중받아 마땅하다고 주장한다. 마약 중독자도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믿고 있다.
저자의 주장에 동의한다. 마약 중독자도 인간으로서 존중받아 마땅하고, 이들이 사회로 복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야말로 마약 문제를 근절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은 마약 문제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제시하는 중요한 책이다. 이 책을 통해 우리 사회가 마약 문제에 대해 더 깊이 생각하고, 마약 중독자들을 위한 사회, 국가적 지원을 확대할 수 있기를 바란다

🔖P. 10
그 과정에서 누구도 마약 사범에게 귀를 기울여주지 않는다. 억울한 부분이 있어도 적극적으로 시비를 다툴 수 없고, 단약과 재활을 하고 싶어도 그저 격리되고 방치될 뿐이다. 단약과 재활을 하고 싶어도 그저 격리되고 방치될 뿐이다. 잘못된 일이다. 누군가는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그들의 노력을 지지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그런 사람들이 이제는 우리 사회에 더 많아져야 한다고 생각했다.

🔖P.24
구치소는 범죄를 가르치는, 소위 ‘학교’가 된다.

🔖P.26
세상 모든 질문은 쉽게 한 문장으로 정의되지 않는다.
빛과 그림자는 해의 방향에 따라 위치를 서로 바꾼다. 우리가 타인의 삶을 이해한다고 쉽게 말할 수 있는 건 그 말의 무게를 정확히 모르기 때문이다. 누군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

🔖P.38
나는 늘 의뢰인을 진심으로 지지하려고 노력한다. 지지한다는 말이 매우 모호하고 애매한 표현이지만, 여기에서 지지한다는 건 내가 만나는 의뢰인에게 편견을 갖지 않도록 애쓰고, 의뢰인을 판단하기보다는 믿어주려고 노력한다는 뜻이다.

🔖P.88
언젠가 그를 만나 이제는 필로폰 생각이 나지 않느냐고 물었다. 그는 대답했다.
“그냥 바쁘게 살고, 평생 참는 거죠.”

🔖P.110~111
단약을 위해서는 의학적 치료와 도움이 필수적이지만 우리나라 구치소나 교도소에서는 약물로부터의 격리 조치 이외에는 그 어떠한 것도 해주지 않는다. 약물 의존과 갈망에 대한 심리적인 상담은 물론이고 금단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처방도 지원하지 않는다. 그저 마약 사범들을 형기를 채울 때까지 한 방에 가둬놓는 것으로 끝이다. 바로 그곳에서 마약 사범들이 서로 정보를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현실을 보면, 구치소나 교도소가 오히려 마약 재범을 양성하는 기관이라고 비난받아도 변명의 여지가 없다.

⭐️이 책은 <채성모의 손에 잡히는 독서>를 통해 지원을 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