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리어 그리고 가정 - 평등을 향한 여성들의 기나긴 여정, 2023 노벨경제학상
클라우디아 골딘 지음, 김승진 옮김 / 생각의힘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클라우디아 골딘의 『커리어 그리고 가정』 은 성별 임금 격차라는 사회 문제에 대한 통찰력 있는 분석을 담은 책이다. 저자는 지난 100여 년간의 미국의 대졸 여성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고, 여성들의 교육 수준과 참여율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별 임금 격차가 여전히 존재하는 원인을 탐구하였다.

이 책에서는 성별 임금 격차의 원인을 네 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첫째, 직업의 성별 분리. 여성들은 남성보다 전통적으로 여성성이 강한 직업에 종사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직업은 임금이 낮고 승진 기회가 적다.
둘째, 경력 단절. 여성들은 남성보다 출산과 육아로 인한 경력 단절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 경력 단절은 여성들의 노동시장 참여율과 임금을 감소시킨다.
셋째, 임금 차별. 같은 직업과 경력 수준에서 남성보다 여성이 받는 임금이 낮은 경우가 있다. 이러한 임금 차별은 여성들의 경제적 불평등을 심화시킨다.
넷째, 노동시장의 구조. 노동시장은 여성들에게 불리한 구조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여성들은 남성보다 직장 내 승진 기회가 적고, 유연 근무를 하는 것이 어렵다.

저자는 이러한 원인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사회 전반의 인식 변화와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첫째, 직업의 성별 분리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직업 선택에 대한 여성들의 인식을 변화시키고, 남성들이 전통적으로 여성성이 강한 직업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둘째, 경력 단절을 줄이기 위해서는 출산과 육아에 대한 사회적 지원을 확대하고, 남성들의 가사 노동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셋째, 임금 차별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차별 금지법을 강화하고, 임금 정보의 투명성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노동시장의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유연 근무제의 확대, 직장 내 성 평등 교육의 강화 등 다양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커리어 그리고 가정』은 성별 임금 격차라는 복잡한 문제에 대한 분석을 하고 여성들의 경제적 지위 향상을 위한 정책적 논의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해 볼만하다.

이 책을 보면서 아이가 있는 선배들의 모습이 많이 떠올랐다. 특히 육아 휴직과 동시에 승진의 기회를 놓치게 되고, 그로 인해 후배보다 승진이 늦어짐에 따라 자괴감을 느끼게 되었고 특히나, 육아 휴직 후 업무 복귀 시 본인이 그 부서에서 그 연차에 맞는 일을 하지 못할까 하는 걱정과 불안으로 업무에 임하는 모습들이 안타까웠다.

나는 그 선배나 동기보다는 결혼이 늦어져 육아휴직을 더 늦게 하겠지만, 그로 인해 승진은 누구보다 빨랐던 대신
앞으로 임신에 대한 걱정.. (이제 고령 산모에 들어가는 나이라 임신이 쉽지 않고 여러 가지 임신중독증, 임신성 당뇨 등의 합병증에 대한 걱정을 하게 된다.)
육아로 인한 걱정.. (아이가 아플 때 어떻게 할지, 특히 나의 직업상 반차라던지 연차가 불가능하다.)을 하게 될 것이 보인다.

이러한 걱정을 안 하도록 또는 사회가 함께 걱정해 주는 사회 정책적으로 정립된 세상이 된다면 나의 커리어, 가정 두 사이에서 고민하는 여성이 줄어들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