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시장의 포식자들
장지웅 지음 / 여의도책방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표지부터 만만치 않을 것 같은 느낌이었다.
책 제목이며, 호랑이에 책 디자인까지...
마냥 쉽게 다가오지 않는 제목.
하지만, 이건 나의 기우였다.
막상 읽어보니 내용이 말랑말랑하지 않지만,
쉽게 써 있어서 한 장 한 장 읽다보니 금방 다 읽게 되었다.
그럼 금융시장의 포식자들이 누구냐?
이 책에서는 대기업, 최대주주, 기관, 글로벌 기업, 이웃나라인 일본과 중국을 포식자로 표현한다. 당연히 피식자는 우리 같은 개미인 것이고.. 우리 같은 피식자가 돈을 벌기 위해서는 그동안 낡은 피식자의 프레임을 벗어 던지고 포식자의 논리를 깨달아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기업의 정의는 이윤이라 말한다. 기업의 부도덕과 불법을 판단하는 건 사법기관의 몫이며, 투자자는 기업을 볼 때 도덕적 관점으로 바라봐서는 안 된다고 말해준다. 매우 도발적이지만, 다시 생각해보면 투자에 있어서는 그 논리가 맞는 것 같다.
돈을 벌려면 지금까지 내가 가지고 있는 가치관이 아닌, 새로운 프레임으로 짜여진 가치관으로 세상을 바라봐야한다는 걸 읽는 내내 느꼈다. 예를 들어 해운대에 있는 엘씨티가 나온다. 엘시티를 사는 이유는 다시는 이런 물건이 등장하지 못할 게 확실하기 때문이다. 엘시티는 희소가치는 합법적으로는 건설이 불가능한, 다시 말해 대한민국에 다시는 들어설 수 없는 건물이라는데 있다. 피식자들은 엘시티의 불법적 요소에 대해 말하지만, 포식자들은 다시는 허가받을 수 없는 101층 높이의 상품성을 본다. 불법적 약점이 오히려 상품으로써 유일무이한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다. 투자자에게 필요한 건 어떤 상황에서도 기회를 발견하는 포식자의 눈이라고 말해준다. 최대주주를 최우선으로 두는 이기적인 기업이 곧 정의로운 기업이며, 기업의 가장 큰 죄는 부도덕이 아니라 이윤을 못 내는 것이라는 논리로 책을 읽으니 어느새 나도 피식자가 아닌 포식자의 마인드가 조금은 길러진 것 같다. 읽는 내내 여러가지 예시와 에피소드가 계속 등장하는데, 읽다보면 그동안 내가 알았던 내용이 그 사건의 전부가 아님을 너무도 잘 알게 된다. 예를 들어 링컨의 노예제 폐지가 왜 나왔는지 하는 것이 기존에 내가 알고 있는 정의로운 이유가 아닌 포식자의 이익을 위해 출발했다는 거 등등 그동안 내가 세상을 너무 아름답게만 바라봤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돈에는 선악이 없으며, 돈이 없는건 죄가 아니지만, 돈에 대해 무지한 건 죄이며, 돈을 지키는게 정의라는 프레임으로 나는 이 전쟁에서 살아남고 싶으니 나 역시 포식자의 마인드를 장착해야겠다는 다짐을 마지막으로 이 책을 덮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