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티카
베네딕트 데 스피노자 지음, 황태연 옮김 / 피앤비 / 2011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옮긴이의 말




우리가 신을 인식하고, 인간으로서 인간의 정신과 감정과 본성에 대해 이해한다는 것은 어떠한 의미와 가치가 있는가? 신을 아는 사람과 모르는 사람, 인간의 감정과 욕망과 본성을 아는 사람과 모르는 사람은 어떤 차이가 있는가? 이에 대하여 스피노자는 이렇게 말한다. “무지한 자는 외부의 원인들에 의하여 여러 가지 방식으로 교란되어 결코 정신의 참다운 만족을 향유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마치 자신과 신과 사물을 의식하지 못하는 것처럼 생활하고, 작용받는 것을 멈추자마자 동시에 존재하는 것도 멈춘다.

 

 이에 반하여, 현자는 현자로서 고찰되는 한에 있어서 정신이 거의 동요되지 않고, 자기와 신과 사물을 어떤 영원한 필연성에 의하여 의식하며, 결코 존재하는 것을 멈추지 않고 언제나 정신의 참다운 만족을 향유하고 있다.”(에티카, 제5부 정리 42의 주석에서)

 

 인간이 세상을 살아가는 방식들, 살면서 만족을 위해 맹렬히 노력하는 모습들은 참으로 다양하다. 인간이 자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노력하고 마침내 목적을 달성했을 때는 누구나 나름대로 어느 정도는 기쁨을 맛볼 수 있다.

 

 그러나 우리가 무지하고 어리석은 사람으로서 존재하고 활동하는 한에 있어서 나름대로 노력하여 얻은 기쁨은 온전히 우리의 것이 되지 못하고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서 사라지거나, 슬픔 또는 고통으로 변하는 것이 상당히 자연스러운 과정인 것 같다.

 

또, 자연 속에서 자연의 한 부분으로서 살아가는 우리의 무지와 어리석음이라는 것은 결국 자연의 법칙과 질서, 사물의 이치, 인간의 정신과 감정과 본성 등에 대한 무지와 착각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무지한 우리는 자연스럽게 그리고 필연적으로 우리보다 훨씬 더 강력하고 절대적인, 자연의 필연적 이치와 상황이 요구하는 것에 의해 압도되어 그것을 따르지 않을 수 없게 된다.

 

 그러나 물질 및 정신세계에 대한 우리의 인식이 진보하면 할수록, 우리는 더욱더 갖가지 예속에서 벗어나 온전히 자유로운 사람이 되기를 바라며, 헛되거나 거짓된 기쁨이 아닌 참되고 지속적인 기쁨을 향유하기를 바란다. 그런 면에서 우리가 진정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자연의 이치와 정신의 본성상 이미 결정된 것으로서 우리에게 주어져 있다. 말하자면 우리는 어떤 부당한 목적을 위해 이용당하는 것을 알면서 기뻐할 수 없고, 우리가 무지와 착각 속에서 경험하는 기쁨은 우리가 그것들에서 벗어나 참된 인식을 얻거나 기쁨이 슬픔으로 변하는 순간 헛된 것이었음이 판명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우리는 어렵더라도 외적으로는 우주의 본질 및 특성들을, 그리고 내적으로는 인간의 정신과 감정과 본성을, 정확히 인식하여 자연의 법칙과 질서, 사물의 이치에 어긋나지 않는 자세를 취하고 그러면서도 자유롭고 만족스러운 삶을 향유하겠다는 의지를 가지는 것이다. 어떻게든 이러한 의지가 실현된다면 그 때 우리는 우리의 노력과 능력만큼의 만족을 얻어 누리고, 동시에 아무것도 한탄할 수 없는 평온한 마음에 이르게 될 것이다.

 

자연의 법칙과 질서에 절대적으로 따르는 우리가 그런 줄 알면서 어떻게 자신의 노력과 능력 이상의 것을 성취하기를 바랄 수 있으며, 자연의 법칙과 질서를 거스르는 것을 욕구하고 제 마음대로 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한탄할 수 있겠는가? 그것은 오직 신과 자기와 사물을 거의 의식(인식)하지 못하는 무지하고 어리석은 자로서만 추구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한 자들은 맹렬하게 전심전력으로 헛되거나 허망하거나 무가치한 목적에 집착하고 열광하지만 그 어떤 방법으로도 자연의 법칙과 질서, 즉 신의 섭리와 명령을 거스르고 어기며 뜻을 이루어 참된 만족을 얻을 수는 없는 법이다. 자연의 법칙이나 신의 섭리를 거스르는 자세는 자연의 이치에 대한 도전, 신의 섭리에 대한 도전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자기의 능력을 과대평가하고 과신하는 허술한 자가 자기를 포함한 전체 자연을 절대적으로 지배하는  강력한 자연 자체나 신을 어떻게 능가할 수 있겠는가? 그런 자는 헛수고에 헛되게 집착하는, 허구와 허위에 매몰된 자일뿐이다. 이런 사람이 바로 스피노자가 말하는 무지한 자, 수동적인 정신을 가진 자, 작용받는 것을 멈추자마자 동시에 존재하는 것도 멈추는 자, 수동적인 감정에 예속되어 휘둘리는 자일 것이다.

 

 그렇다면 현명한 자, 능동적인 정신을 가진 자, 작용받는 것보다는 작용하는 것이 더 많은 자, 지성을 발휘하여 수동적인 감정을 극복하고 그것에서 벗어나는 자, 정신의 참다운 만족과 자유를 향유하는 자는 어떻게 하여 그런 경지에 이를 수 있겠는가? 우리의 스승 스피노자는 여기 ≪지성교정론≫과 ≪에티카≫에서의 논리적인 증명과 설명으로써 우리가 신에 대해서, 그리고 인간의 정신과 감정과 본성과 예속과 자유에 대해서 보다 정확히 인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리를 참된 인식과 자유와 만족의 길로 이끌고 있다.


                                             옮긴이 黃 泰淵

 

 

 


           <에티카> 정오표                                         


   42p,  3(6)행. 만자기 -> 만자가                              

   63p,  6행. 정의 -> 정리                                  

   104p, 12행. 활동한다. ->활동한다는 것을,                  

     15행. 나온다. ->나온다는 것을 밝혔다.                      .

   140p, 22행.  첫 번째 -> 세 번째                          

   174p, 8행.  감정에 ->                                     

          감정에(그것의 진짜 원인으로부터)                              

   266p, 16행. 원리를 -> 권리를                             

   294p, 20행. 누구에게고 -> 누구에게도                        

   335p, 28행. 사랑 -> 사랑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