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이드 애플 Inside Apple - 비밀 제국 애플 내부를 파헤치다
애덤 라신스키 지음, 임정욱 옮김 / 청림출판 / 2012년 5월
평점 :
절판


아이팟, 아이폰 등 애플의 제품 인기가 언제부턴가 많아지고, 매니아층도 두텁고, 주위사람들이 아이폰에 열광하며 새로운 버전이 나올때마다 바로바로 줄서서 사고 서로 공유하고 자랑스러워하는걸 보고, 그리고 나도 아이폰을 사용해보았기에 제품도 앱스토어도 모두 훌륭하고 신기했습니다. 이런 생각을 많이 하고 있었는데, 다른 책을 읽다가.."나는 세계일주로 자본주의를 알게되었다" 를 읽어보니 그리고 뉴스에서도 많이 다뤄지긴 했지만 폭스콘 회사와의 관계, 노동/인권 착취 이런 측면의 내용도 보니, 애플이라는 회사 자체가 굉장히 윤리적이라던가 아님 바람직한 면만 있진 않을거라 예상이 들었고, (물론 기업은 이윤 추구 극대화가 목적이지민) 워낙 유명한 스티브 잡스의 전기도 읽고 있긴 한데, 영어로 되어 있어서 미루고 있던터라 이책을 먼저 접하게 되었네요

일단 전반적으로는 애플의 긍정적인 면을 많이 강조한 책인거 같아요. 그렇다고 사실을 숨겼다거나 왜곡하는 것은 아닌것 같지만, 폭스콘 같은 얘기는 하나도 안 나왔으니..하지만, 그래도 회사문화를 이해하는데는 많은 도움이 되었어요. 스티브 잡스가 워낙 천재이지만, 그래도 직원들한테 주위사람들한테 지독하고 조금 특이하다는 점은 많이 알고 있었는데, 회사 문화도 ceo한 사람으로 인해 이렇게 될수 있구나.. 만일 애플에 입사를 준비하거나 휴대폰 업계에 종사하거나 혹은 애플의 회사문화가 궁금하신 분은 읽어보셔도 좋을것 같습니다. 애플의 스티브 잡스 시대를 자세하게 써놓았고, 후반으로 갈수록 스티브 잡스의 시대가 아닌 쿡의 시대에는 어떻게 될것인지 논리적으로 예상을 하는데, 설득력이 있고, 포스트 잡스 시대에는 그의 부재로 인한 장단점이 있을거라고 생각이 듭니다.

아무래도 첨단 산업이고, 업계에서도 정말 기발한 아이디어로 선발주자로 달리는 애플의 경영 실태가 mba에서 배우는 일반적인 효율적인 경영을 그동안 따르지 않았다는 것에 대해서는 신기했습니다. 많은 부분이 잡스의 좋게 말하면 의사결정, 안좋게 말하면 독재? 정도의 결정으로 지연되기도 하고, 상당 부분을 그에 의존했다는 점은 신기한점도 있었고, 주력 제품에만 신경을 쓰고, 주력하지 않는 제품에는 아예 신경을 안써서 지연되기도 하고, 타사 제품에 떨어지기도 하고, 또 그런 부서에서 일하는 사람들이 소외감을 느껴서 퇴사하기도 하는등. 일반 회사와는 참 다른 모습을 많이 보았습니다.

쿡의 경우 잡스의 영향을 많이 받았긴 했겠지만, 그래도 정반대의 사람인데 (기술자도 아니고, 예술가도 아니고, 경영자적 특성이 큰) 애플의 앞으로의 경영에 장점도 많이 있겠지만, 잡스의 부족한 점을 채워줄수 있겠지만, 잡스가 지닌 장점을 커버할수 있을지 우려는 됩니다.

잡스가 있을 당시 비밀리에 진행한다고 해도 회사내 탑 100 모임을 1년마다 진행하여, 직급 상관없이 잡스가 인정하는 사람들만 모아놓고 새로운 제품에 대한 회의를 하는것도 이색적이었습니다. 우리나라 관료주의 문화에서는 절대로 상상할수 없을텐데 ..

애플로부터 마케팅 전략도 배웠습니다. 출시일 까지도 외부에 새로운 제품이 출시될때까지 애플 직원들이 참 비밀을 잘 지킨다고 생각했는데, 그들도 모르고 있어서라는 점, 그리고 미리 정보를 새어나가지 않게 하고, 짜잔하고 발표하는 것은 참 멋진 전략인것 같습니다.

경영대학원이나 경영학자들이 한 회사에 대해서 깊은 케이스 스터디를 해놓은 것 같은 느낌이 드는 책이었고, 저는 유익했습니다. 애플에 입사하고자 하는 사람들한테, 애플에 대한 정보는 잘 알려져 있지 않으니 이책을 읽어보라고 하고 싶습니다. 애플의 제품은 좋아하지만, 근로자 입장에서는 참 다니기엔 빡센 회사라는 느낌이 들었고, 그래도 휴대폰 업계에 종사한다면 2-3년 정도 경험 쌓기에 좋지 않을까 생각했습니다.

앞으로의 애플도 기대해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