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아르떼 합스부르크 600년 매혹의 걸작들 100배 즐기기 - 한·오스트리아 수교 130주년 기념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한경arte 특별취재팀 지음 / 한국경제신문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새롭게 전시를 연 합스부르크 600년 전시가 한 ●오스트리아 수교 130주년을 기념으로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를 열고 있다고 합니다.

미술에 문외한이라 뭔지 모르지만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를 한다면 역사적이나 문화적인 가치가 있는 작품을 전시할 것 같아 전시관람하기 전 이 책을 먼저 읽어 보게 되었어요.

전시를 보기에 앞서 책을 읽고 전시 관람한다면 좀 더 관람할 때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 같아 먼저 읽어 보기로 했답니다.

나중에 전시 관람 후 읽어 봐도 좋을 것 같기도 합니다.


  첫 장을 넘기면 빈미술사박물관 공예관 천장 그림 <합스부르크 가문의 후원자와 예술가>란 작품이 보입니다.

보는 순간 라파엘로의 아테네 학당이 떠오르네요.

구도가 아테네 학당이 떠오르게 합니다.


 목차를 보니 한 눈에 보기 편하게 되어 있네요.


이 전시가 없었다면 전 아마도 합스부르크 가문에 대해 알지 못했을 것 같아요.

합스부르크 가문과 관련된 전시라 그런지 인물이 많이 눈에 띄는 것 같네요.


전시와 연계해서 세계사 공부도 함께 할 수 있을 것 같네요.

유럽 역사도 그림과 함께 연대표가 있어 보고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어요.


우리 나라의 족보가 연상되는 가계도네요.

초상화도 함께 있어 더 이해가 쉬운 것 같네요.


아마도 이 번 전시가 아니었다면 빈미술사박물관이 있다는 걸 모르고 지냈을 것 같아요.

빈미술사박물관은 미술사를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의 걸작들의 보금자리라고 합니다.

합스부르크가는 1500년대부터 미술품을 수집했고 빈미술사박물관에는 알브레이트 뒤러 같은 독일어권 화가와 피터르 파울 루벤스, 안토니 반 아이크를 비롯한 플랑드르 화가들, 베첼리오 티치아노, 산치오 라파엘로 같은 이탈리아 화가들의 작품이 골고루 소장되어 있다고 합니다.

또한 오랜 시간 프랑스와 적대적 관계여서 프랑스 화가들의 작품을 찾아보기 어렵다고 합니다.

그러나 1750년대에 프로이션을 견제하기 위해 프랑스와 신성로마제국은 일시적 동맹을 맺었다고 하네요.

마리 앙투아네트의 어머니 마리아 테리이자 황제는 빈미술사박물관 설립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계몽전제군주였고 1776년 합스부르크 가문의 컬렉션을 대중에게 공개하라고 명명하면서 빈미술사 박물관의 역사가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읽으면서 몰랐던 세계사를 알게 되었어요.


  보면서 유난히  초상화 작품이 눈에 많이 띄는데 초상화가 왜 중요할까 생각을 했어요.

그러나 사진이 발명되기 전 초상화를 무척 자세하고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유전적 질환을 담은 모습을 볼 수 있다는 해설에 좀 더 유의 깊게 보게 되었어요.

왕의 초상은 단순히 개인적인 모습을 남기는  의도외에 왕권을 합리화는 그림으로 중요한 목적이 있다고 하네요.

이 번 전시회를 통해 스페인 공주 마르가리타 테레사의 2살, 5살, 9살 때 모습을 담은 초상화중 다섯 살 때 모습을 직접 만나볼 수 있다고 하니 더 전시회에서 직접 관람하고 싶어졌어요.

이 번 전시회에서 96점의 회화와 조각, 공예품은 16세기부터 20세기 초반까지 합스부르크가의 황제들이 수집한 걸작들이라고 하니 더 기대되고 궁금해집니다.



  빈미술사박물관에 대해 좀 더 자세하게 설명되어 직접 가보고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이 번 전시를 관람하는 이유 세 가지를 보니 격하게 공감되어 꼭 가보고 싶어지네요.


  아마도 이 책을 읽지않고 전시회를 관람했다면 놓쳤을 이야기들이 담겨 있었어요.

합스부르크 왕가에는 주걱턱이 많다는 해설을 못봤다면 무심히 지나쳤을 것 같아요.

요즘은 사진기나 모바일폰이 있어 바로 사진으로 담을 수 있지만 당시는 사진기도 없이 어떻게 이런 특징들을 사실적으로 잘 표현했나 싶네요.

숨은 이야기를 읽다 보니 재밌네요.

1892년 조선과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은 수호통상 조약을 체결했고 다시 고종은 수교 선물로 프린츠 오제프 1세 황제에게 조선의 갑옷과 투구를 보냈고 오늘 날까지 빈미술사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고 하네요.

읽다 보면 깨알 지식도 얻을 수 있었어요.

바로크는 포르투갈어로 '비뚤어진 진주'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중간 중간 재밌는 이야기가 짧게 수록되어 있었어요.

사냥 그림에 새가 많은 이유등등 지루하지 않게 되어 있어요.


  이 번 전시에 성모상도 볼 수 있나봅니다. 성모 마리아와 아기 예수, 안 브뤼힐, 2세, 1626년 이후 작품이라고 하네요.


  또한 이 번 전시에서 꼭 봐야할 작품들을 20개 정도 실려 있고 간략하게 설명도 있어 재밌게 볼 수 있었어요.

막스밀리안 1세는 그림책 표지에서 본 듯한 익숙한 모습이네요.

옆에 막시밀리안 1세가 주문해서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갑옷으로 디자인과 실용성이 좋아 보이네요.



  개인적으로 전 스페인 공주 마르가리타 테레사의 5살 때 모습을 담은 작품이 눈길을 끄네요. 인형같아서 더 눈길을 끄는 지도 모르겠어요. 옆의 설명을 읽고 하나 배웠어요.



  비하인드 스토리는 도슨트의 해설같아 좋네요.


  책을 읽고 이 작품은 꼭 전시회장에서 보고 싶네요.


  다양한 컬렉션이 눈길을 끕니다.


  전시 설명을 읽다 보니 오스트리아가 궁금해졌는데 어찌알고 이렇게 오스트리아에 대해 설명을 해 놓았는지 반가웠어요.


 오스트리아의 맛을 느낄 수 있는 곳이 서울에도 있다니 전시 관람 후 들려보면 좋을 것 같네요.



  오스트리아를 대표하는 관광 명소도 수록되어 오스트리아에 가게 되면 꼭 들려 보고 싶은 곳이예요.


  전시 선발대가 말하길 평일 오전 일찍 갔는데도 전시를 관람하려는 관람객이 무척 많다고 하네요,

그리고 한 번만 볼 게 아니라 작품이 많아서 다 못 봐 여러 번 봐야 한다고 하는 소릴 들었어요.

이 책에서도 전시 마니아를 위한 팁을 적어 놓았네요.

이 책에서 권하는대로 3일 여정으로 관람 계획을 세워야 할 것 같아요.


  전시 관람 후 아트샵에 틀리면 여러 상품들이 있는데 이 번 전시회에도 굿즈들이 많은 것 같네요.

예쁘고 감각적이고 예술적인 상품들이 많은 것 같네요.

이 책을 읽고 전시회에 가면 읽지 않고 관람할 때보다 많은 것이 보이게 될 것 같아요.

빨리 전시회장에 방문해서 직접 작품들을 만나보고 싶어졌어요.

전시 관람 후 다시 이 책을 읽고 다시 봐도 좋을 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무상으로 제공받아 읽은 후 자유롭게 작성한 개인적인 견해의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