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킹이 들려주는 빅뱅 우주 이야기 과학자가 들려주는 과학 이야기 4
정완상 지음 / 자음과모음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와 함께 도서관을 자주 가시나요?

저는 주1회는 함께가려고 노력중인데, 오늘은 가정학습을 하게되서 도서관에서 공부를 하고 왔어요

도서관을 가면서도 손에 쥐고 갔던 초등과학전집 호킹이 들려주는 빅뱅 우주 이야기

과학이야기 전집을 재미있어하니, 얼마나 다행인지 몰라요^

공부하라고 갔는데, 책보느라 정신없는 초3

도서관에서 가면 항상 공부보다 책이 먼저인건 안비밀요


도서관에 가면 항상 000번부터 900번대까지 살펴봐야하는데, 요즘 제가 매일 들르는 코너가 바로 수학쪽이에요

수학을 과학과 연계해서 풀어내주니, 아이에게 슬쩍 던져주면 호기심을 이끌어내기 좋아서 하나씩 도장깨기하고 있는

자음과 모음 수학으로 통하는 과학 시리즈^^


아이들마다 과학에서도 빠지는 분야가 다 다른데, 저희 아이들은 화학, 물리쪽을 좋아했고

천체, 우주, 생물 분야는 관심을 보이지 않았어요

요즘들어 우주를 궁금해해서 읽어본 호킹이 들려주는 빅뱅 우주 이야기

스티븐 호킹 박사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고, 책을 읽기 시작했습니다

"밤하늘이 어두운 건 우주에 끝이 있어 어떤 방향으로는 별이 있지만 또 다른 방향으로는 별이 없기 때문"이라고 주장한 올베르스

과연 우주는 무한할까, 유한할까?

일전에 읽었던 파동이야기에 나왔던 내용과 연계되니 진폭, 파동, 파장의 길이 등 개념을 다시 확인해봤어요

줄을 힘있게 흔드니까 파장이 짧아짐 → 파장이 짧을수록 에너지가 큰 파동 → 빛도 파동 → 빛은 파장의 길이에 따라 눈에 보이지 않는 X선, 감마선, 자외선, 적외선 등, 눈에 보이는 가시광선(보라색→빨간색)으로 나눈다

*파장이 짧은 순서로 나열함

근데 우린 빅뱅 우주에 대한 책을 읽고있는데, 왜 파동과 빛에 대해 나오는지 궁금하시죠?


앞서 나온 빛의 파장과 우주가 만나는 부분

허블의 우주관찰로 발견하게 된 우주가 팽창하고 있고, 두 은하가 멀어지는 속도는 결국 우주가 팽창하는 속도와 일치한다는 사실

(우주 팽창은 빅뱅으로부터 시작했다는 것)

안드로메다은하를 관찰하다가 매일 도착하는 별빛이 점점 빨간빛에 가까워지는 걸 발견한 허블

모든 파동은 관측자로부터 멀어지면 파장이 길어지고, 가까워지면 파장이 짧아지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요

가시광선 중 보라색이 짧은 파장이고, 빨간색이 긴 파장입니다

즉 별빛이 빨간색을 보내온다는 건, 빛의 파장이 길어짐을 의미하고 거리가 멀어졌다는 걸 유추할 수 있어요

우주이야기를 읽으며 파장까지 연관되어 관찰한다는 걸 읽은 아이는 "이 사람들 정말 머리가 좋다"라며 감탄을 했어요

전혀 연관없어보이는 사실들로 새로운 사실을 밝혀낼 수 있는 일련의 과정이 너무 멋지다고^^


요즘 학원 근처에서 로봇커피점이 생겼는데, 나중에 외계생명체를 찾게되면 월E처럼 이런 로봇을 만들어서 친구를 만들어주겠다는 포부를 밝힌 초등3학년 꼬마의 꿈은 이루어질까요?

아이에게 더 많은 상상력을 주는 초등과학전집 과학자이야기 호킹이 들려주는 빅뱅 우주 이야기 후기였습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아 직접 활용 후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