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콧이 들려주는 남극 이야기 과학자가 들려주는 과학 이야기 23
좌용주 지음 / 자음과모음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극이라니, 너무 멀어서 어떤 환경일지 화면에서 봤던 모습만 생각날 뿐 현실감이 느껴지지는 않아요

과연 남극에서 들려줄 초등과학 어떤 이야기들일지 너무 궁금합니다

총 7일간의 여행을 11개의 챕터로 나누어서 다루고 있는 초등과학 필독서

남극 체험 탐험에 참가하면서 가는 길, 지형과 환경, 기후와 생물, 얼음이 생기게 된 과정, 기후변화 등등

우리가 궁금해하는 것들을 세세하게 나누어서 알려줍니다

각 주제마다 교과연계 되어있는 부분을 확인할 수 있어요

초등과학 3,4,5학년과 중등, 고등과학까지 확장시킬 수 있는 내용이에요

정말 두고두고 읽히면 좋은 과학필독서


빙하와 크랙은 알지만, 이번에 새롭게 알게된 크레바스

빙하 속의 깊게 갈라진 틈으로, 빙하 내부의 부등속 운동으로 압축과 신장이 일어나며 생긴다. 크레바스와 크레바스 사이의 고립된 빙하 덩어리를 세릭이라고 한다

이 단어의 설명에서 새롭게 부등속, 압축, 신장, 세릭 이라는 단어를 알게 됐어요

초등3학년 2학기 국어에서 사전찾는 법을 배우는데, 미리 사전찾는 법 알려주며 단어장 만들기 도전해보려고요


"남극의 빙하가 녹고있다"고 기사에서도 많이 다루었던 내용이죠

남극 내륙의 두꺼운 얼음을 다 녹이는 일은 거의 불가능하다니 다행이지만, 반대로 생각하면 바깥쪽은 녹는다는 이야기?

그래서 남극을 탐사하는 분들이 연구를 하고 기후변화를 분석하는 것이지요

아이와 함께 책을 읽으면서 '오~ 이 부분을 재미있어하니 다큐멘터리 찾아서 같이 봐도 잘보겠는데?' 생각을 했어요

만화와 글로 본 내용을 영상과 설명으로 다시 시각화시켜주면 더 오래 기억할 듯 해서요



바다와 빙하에 대한 이야기를 하다가 대기권으로 넓어집니다

날이 더워지니 자외선이 세지면서 아이에게 선크림을 발라주고 있는데, 오존층과 연계시켜서 왜 바르는지에 대해 다시 설명해줬어요

읽다보면 개념확장은 자연스럽게 되기때문에 교과연계 과학도서로 너무 좋아요

오존 구멍을 발생시키는 원인물질인 플루오로카본이 냉매제로 많이 쓰였던 걸 추가로 알게됐어요


책 뒤쪽에 나오는 남극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으로 한번쯤 궁금해했던 내용들을 확인할 수 있었어요

이전부터 알고는 있었지만 아이에게 어려울까봐 망설이기만 했던 과학자가 들려주는 과학이야기 전집

아이의 관심분야를 한 권만 구입해서 읽어보게 하고, 조금씩 늘려나가는 것도 좋은 방법같아요

전 수학자가 들려주는 수학이야기를 먼저 구입하고, 아이와 너무 재미있게 읽어서 초등과학 필독서 선택한건데 너무 잘 읽고있어요

남극에 관심많은 아이들에게 스콧이 들려주는 남극이야기 추천합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아 직접 활용 후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