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나의 밤을 떠나지 않는다 프랑스 여성작가 소설 1
아니 에르노 지음, 김선희 옮김 / 열림원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경험하지 않은 일은 쓰지 않는다”라고 자신의 글쓰기를 명하는 아니 에르노의 소설이다. 건조하며 적나라한 사실 표현으로 엑스레이를 투시하는듯한 느낌 역시 이 책에서도 느꼈다. 단순한 문장 속에 슬슬 드러내며 내게 다가오는 단어 이전의 것 들을 포착하는 희한한 체험을 주는 작가다. 아니 에르노의 문장에서는 특유의 유치함과 고수의 롤러코스터를 탄다. 역시 흥미롭다.

 
치매 때문에 2년여 동안 요양병원에 입원한 어머니를 방문하면서 메모한 일기를 기억과 조율해 엮었다. 어머니를 추억하는 소설로 ‘한 여자’와 얼개가 겹친다. 하지만 그의 소설은 읽을 때마다 새롭다. 치매 앓는 어머니의 마지막을 지켜보며 “나의 어린 딸이 되어버린 어머니지만, 결코 나는 그녀의 어머니가 될 수 없음을”고백한 작가. 그렇게 존재의 한계를 인식하며 묵묵히 사실을 기록하는 일로 어머니를 붙들어 매 놓는다. 이 과정을 통해 순리대로 어머니를 놓아주는 두 가지 의식을 치른다. 날로 피폐해지는 어머니를 지켜보며 죄책감과 두려움 속에 할 수 있는 일이란 겨우 글 쓰는 일뿐임을 고백한다. 현실적으로 괴리감은 있지만 그런 작가의 마음에 나도 한없이 고개를 끄덕인다. 
 
 
어머니는 교통사고를 크게 당한 후 기억상실증이 생겼다. 결국 2년여의 혼란기를 거치며 치매로 발전한다. 집에서 함께 살았던 당시에 보였던 이상행동들, 작가는 어머니의 이런 행동을 보며 히죽히죽 웃는 주변인들을 목격한다, “어머니의 미친 상태를 비웃을 수 있는 자격을 지닌 사람은 내 아들과 나, 오직 우리뿐이다.”라며 속울음 운다. 꼿꼿했던 어머니의 존재가 웃음거리가 되고 만 현실이다. 그래도 “미쳐서라도 살아 있었으면 좋겠다”라고 어머니의 살아 있음을 감사해한다. 
 
 
심해지는 치매로 퐁투아즈병원 노인 병동에 입원한 어머니. 작가는 수시로 문병하며 병동에서 벌어지는 어머니와 노인들의 모습을 관찰한다. 특유의 몸짓과 표정들, 치매라는 정신의 피폐까지 겹친 병약한 노인의 마지막 모습이란 얼마나 기이한 풍경인지, 작가는 자신의 미래를 그곳에서 발견한다. 피하고 싶은 공포와 불결함, 비참함은 숙명으로 다가온다. 딸을 위해서라면 무슨 일이든 두려움 없던 어머니였다. 이젠 비스킷 한 조각 스스로 입으로 가져가지 못하는 인지부조화와 병든 신체로 하염없이 딸만을 기다리는 어머니, 그런 어머니를 두고 돌아오는 작가. 표면상으로는 둘이지만 하나의 덩어리로 인식되는 모녀의 모습이다. 
 
 
꽃무늬 앞치마와 화장도구 세트, 세상에 매달리고자 악착같이 챙기던 사물들에도 관심이 없다. 틀니도 잃어버린 어머니, 얼굴 매무새를 고치고 틀니를 챙겨 먹을거리를 찾는 일련의 ‘생의 의식’을 하나하나 포기한다. 어머니를 비참함에서 건지지 못하는 딸로서의 죄책감은 작가자신의 ‘생명의 정지’와 같음을 인식한다. 육신은 살아있으나 죄책감의 고통에 “어머니의 삶과 함께 소멸되는 이치다. ‘어머니’는 곧 ‘나’임을 실감한다.”라고 작가는 고백한다. “죽음이란 목소리의 부재를 의미한다.“ ”아니~“ 하며 부르던 어머니의 목소리, 세상에 늘 있던 어머니의 목소리다. ”갈망하다 죽었다.“라며 딸과 함께 있지 못한 어머니의 갈망이 죽음으로 끝날 형국임을 자책한다. 한편으로는 고통 속에서 육신을 유지하느니 어머니가 어서 돌아가셔서 고통받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노인들의 병고는, 병자와 남겨진 자들의 입장이 다를 터이다. 작가의 생각처럼 차라리 죽음으로 고통에서 벗어나길 바라는 마음과, 그래도 살아 있음을 원하는 두 가지 상황, 책의 중반부까지는 그래도 살아만 있어 달라는 작가의 마음이 읽혔다. 점점 고통스러워지는 어머니의 육신을 보면서는 차라리 죽음으로 편안해지시길 바라는 모습으로 바뀐다. 두 감정 모두 정답이 없다. 양가감정이 공존하는 것 또한 남겨진 자의 사랑일 터이다. 
 
 
“나는 나의 밤을 떠나지 않는다.” 어머니가 글로 쓴 마지막 문장이다. 노쇠해져 처음 집을 떠나던 날, 정원에서 자주 놀던 거북이를 찾으려고 뒤돌아 보던 날 이 후에 쓴 문장이란다.
기억이 오락가락하고 육체가 약해질 무렵 온전한 정신줄을 집중하며 마지막으로 꺼낸 문장이다. 글의 맥락만으로는 명쾌한 의미를 알 수 없었다. 추측하건데 정원을 공유한 거북이를, 사랑하는 딸을, 병들어 자신조차 무너질지라도 이 모든 것을 놓지 않고 ‘기억한다’는 다짐이 아니었을까. 영원히 계속될 세상의 반 밤, 병으로 고통받는 밤이지만 여전히 세상의 반을 차지하며, 딸을 떠나지 않는다는 극도의 사랑. 그런 사랑을 무의식적으로 간직한 작가는 어머니와의 흔적을 모아 소설로 헌사한다. 작가는 소설의 허울을 빌려 독자에게 어머니라는 자연을 생으로 툭 던진다. 이 의식에 나도 동참한다. 비극이 사랑이라는 교감 안에서 기쁨으로 등록되는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